겨울마다 손발이 시리다면? 혈액순환 이상 ‘수족냉증’ 점검 필요

[Hinews 하이뉴스] 기온이 많이 떨어지자 손끝이 얼음장처럼 차갑다고 호소하는 이들이 있다.

이를 ‘체질’ 문제로 넘기기 쉽지만, 전문가들은 수족냉증을 말초 혈류 감소와 자율신경 불균형이 겹친 임상적 상태로 본다. 특히 수족냉증은 겨울철에는 증상이 악화돼 업무 집중도와 수면의 질까지 떨어뜨리므로 원인 평가와 생활 치료를 병행하는 접근이 필요하다.

찬바람이 불기 시작하면서 수족냉증 증상을 겪는 이들이 늘고 있다. (이미지 제공=클립아트코리아)
찬바람이 불기 시작하면서 수족냉증 증상을 겪는 이들이 늘고 있다. (이미지 제공=클립아트코리아)

◇ 수족냉증의 주된 원인 '혈액순환·호르몬'...다른 질환일 수도

수족냉증의 주요 원인은 혈관 수축이다. 추위나 스트레스 자극에 교감신경이 과민해지면 말초 혈관이 좁아지고 체온 유지 차원에서 혈류가 몸통으로 우선 배분된다. 이 과정이 과도하거나 오래 지속되면 손발 온도는 떨어지고 저림·통증이 동반된다.

여기에 호르몬 변화가 더해지면 문제가 복잡해진다. 임신·출산, 폐경, 갑상선기능저하증은 체온 조절과 혈관 반응성을 바꾼다. 빈혈·저혈압은 말초 산소 전달을 떨어뜨려 냉감을 악화시킨다.

이와 같이 손이 차가워지는 증상은 다른 질환의 신호일 수 있다. 레이노증후군은 수족냉증과 혼동되지만 질병 분류가 다른 상태다. 레이노증후군은 추위에 노출되면 손가락 색이 하양, 파랑, 빨강 순으로 변하고 통증·저림이 반복된다. 자가면역 질환과 연관되기도 해 색 변화가 뚜렷하면 혈액검사와 혈관 평가가 권고된다.

걷기만 해도 종아리가 당기고 발이 유난히 차갑다면 말초동맥질환을, 손 저림과 감각 이상이 동반되면 손목터널증후군을 의심해야 한다. 냉감과 함께 피로·부종·탈모가 길게 이어지면 갑상선기능저하증 창백함과 어지럼이 동반되면 빈혈 가능성이 높다.

◇ 생활습관 조절부터, 개선 없으면 진단 필요

치료의 첫 단계는 생활 습관 교정이다. 핵심은 전신 보온과 근육량 회복이다. 손발만 덮는 방식은 한계가 있다. 얇은 옷을 겹쳐 입고 목·귀·발목 같은 열이 새는 부위를 막으면 말초 혈류가 안정된다.

운동은 주 3~5회, 20~30분의 근력운동을 기본으로 하되 가벼운 유산소를 곁들이면 기초대사량이 오르고 열 생산이 늘어난다. 반신욕·족욕은 38~40도에서 20~30분이 적당하며 어지럼이 오면 즉시 중단한다.

니코틴은 강력한 혈관 수축제이므로 금연이 치료의 일부다. 알코올은 일시적 온기감을 주지만 체온 조절을 교란해 오히려 냉감을 키울 수 있다.

식단은 따뜻한 조리와 혈류를 돕는 재료로 방향을 잡는다. 생강과 계피, 마늘은 혈관 반응성을 개선하고 체온을 끌어올린다. 철 결핍이 의심되면 검사를 거쳐 붉은 살코기·생선·달걀 등 철분 공급원을 충분히 섭취하는 것이 중요하다.

반대로 카페인 음료는 혈관 수축을 유발해 오후 이후 섭취를 줄이는 편이 낫다. 얼음 음료·차가운 우유·녹즙처럼 저체온을 유발하는 음식, 과도한 포화지방은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다.

“언제 병원에 가야 하나”는 질문에는 분명한 기준이 있다. 첫째, 손가락 색이 반복적으로 변하고 통증·저림이 동반될 때다. 둘째, 한쪽 발만 유난히 차갑고 보행 시 종아리 통증이나 상처 치유 지연이 있을 때다. 셋째, 냉감과 함께 피로·부종·탈모, 혹은 어지럼·창백 등 전신 증상이 나타날 때다. 마지막으로 생활요법을 4~6주 시행했는데도 변화를 못 느낀다면 기본 혈액검사와 필요시 혈관·신경 검사가 권장된다.

저작권자 © H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