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마시스는 최대주주가 차정학 대표이사에서 아티스트코스메틱으로 변경됐다고 10일 밝혔다.아티스트코스메틱은 차정학 대표이사 외 3인과 체결한 주식양수도 계약의 잔금을 지난 9일 조기 납입했다. 기존 납입 예정인 2월 28일보다 약 2주 당겨져 진행됐다.남궁견 회장은 “신규사업 추진을 가속화하고 셀트리온과의 소송 등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해 잔금을 예정일보다 앞서 지급했다”며 “오는 28일 열리는 임시주주총회서 선임될 이사진을 대표하는 김성곤 경영지배인을 선임해 경영에는 공백이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휴마시스는 지난 9일 김성곤 인콘 대표이사를 경영지배인으로 선임했다. 김 경영지배인은 “코로나19 관련 시장 축소에...
셀트리온은 지난 7일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휴미라(Humira, 성분명: 아달리무맙) 바이오시밀러 ‘CT-P17’(브랜드명: 유플라이마)의 임상 1상 결과가 SCI급 국제 학술지 ‘이뮤노테라피(Immunotherapy)’에 게재됐다고 밝혔다.이번 논문은 일본에서 진행된 CT-P17와 오리지널의약품의 약동학적 유사성을 확인하고 안전성 및 면역원성을 평가한 임상 1상 결과를 바탕으로 발표됐다.셀트리온은 해당 연구에서 총 204명의 건강한 일본인 피험자를 CT-P17 투여군과 아달리무맙 투여군으로 나눠 투여 후 10주간의 경과를 관찰한 결과, 두 그룹의 약동학(PK)적 유사성을 확인했다. 또한 안전성 및 면역원성에서도 비교군간 유사함을 보였다.셀트리온이 개...
에스바이오메딕스가 상장 예비심사를 통과했다고 10일 밝혔다. 상장주관사는 미래에셋증권이다.에스바이오메딕스는 2가지 원천 플랫폼 기술(FECS, TED)과 8개의 파이프라인을 보유하고 있으며, 국내를 비롯한 미국·유럽·일본 등 메이저 바이오 마켓에 총 132건의 특허를 출원한 바 있다. 그 중 87건의 특허 등록을 완료하고 지속적으로 보완 특허를 출원 중이다.FECS는 3차원 기능성 스페로이드 구현 기술로, 에스바이오메딕스는 세포의 기능을 강화하여 기존 단순배양 방식으로 만들어진 줄기세포치료제의 기술적 한계를 뛰어넘어 근본적인 치료를 가능케 한다고 설명했다. 줄기세포 스페로이드를 이용한 중증하지허혈치료제 임상 2a상을 진행...
강스템바이오텍은 지난달 31일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제인 ‘퓨어스템-알에이주’ 임상 2b상을 위한 임상시험계획(IND)을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신청했다고 10일 밝혔다.퓨어스템-알에이주는 동종 제대혈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치료제로, 면역억제능력을 보유해 류마티스 관절염을 유발하는 대식세포를 억제성 대식세포(macrophage M2 phase)로 유도한다. 이를 통해 염증반응을 억제하고 면역기능을 정상화하여 근본적으로 류마티스 관절염을 치료하는 것을 목표로 개발 중이다.회사는 지난 임상 1/2a상을 통해 퓨어스템-알에이주의 내약성과 독성반응 및 약물이상반응이 발현되지 않음을 확인했으며, 2b상 임상시험에 적용할 효과적인 용량을 선택한...
현대약품은 CADD(Computer-aided design and drafting: 컴퓨터이용설계제도) 기반의 신약 후보물질 디자인 업체인 ㈜시놉스디자인과 신약 개발 협약을 체결했다고 10일 밝혔다.현대약품은 이번 협약을 통해 시놉스디자인의 분자 설계 기술을 이용해 신규 타겟에 대한 새로운 구조를 발굴하고 신약 후보 물질을 도출할 계획이다.현대약품은 효율적인 후보 물질 개발로 신약 개발 기간이 단축되고 개발에 소요되는 비용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전했다.현대약품 관계자는 “이번 협약으로 의약 화학 기반의 CADD 업체인 시놉스디자인과 현대약품의 의약 화학 연구원들이 지속적으로 토론 및 논의를 할 수 있게 됨에 따라 후보 물질...
GC셀은 이사회를 통해 제임스박 대표이사를 내정했다고 9일 밝혔다.제임스박 대표이사 내정자는 캘리포니아대학 데이비스캠퍼스(University of California, Davis)에서 화학공학을 전공하고, 컬럼비아대학(Columbia University)에서 산업공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머크(Merck), BMS(Bristol Myers Squibb) 등 빅파마를 거쳐 2015년부터 최근까지 삼성바이오로직스에서 글로벌영업센터 부사장(Chief Business Officer)을 역임한 글로벌 제약바이오 전문가다.BMS에서 전임상 단계부터 상용화에 이르는 100건 이상의 의약품 공정개발 및 품질관리(Chemistry, Manufacturing and Controls; CMC)분야 실사에 참여하여 라이선스 인&아웃 및 인수...
휴이노가 부천세종병원 심장내과와 인공지능 기술의 심전도 판독에 대한 성능검증과 고도화에 대한 업무 협약(MOU)을 체결했다고 9일 밝혔다.지난 8일 부천세종병원에서 열린 협약식에는 휴이노 길영준 대표이사와 부천세종병원 박진식 이사장을 비롯해 회사 주요 임원진과 병원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해 자리를 빛냈다.이번 협약 체결을 통해 휴이노는 인공지능 심전도 분석 솔루션인 ‘메모 에이아이(MEMO AITM)’의 정확도를 고도화해 향상된 의료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양사는 인공지능 기반의 부정맥 진단 알고리즘에 대한 공동 연구를 진행하고, 실제 의료 현장에 도움이 되는 기술개발에 적극적인 협력 관계를 구축해 나갈 예정이...
바이엘 AG의 경영위원회는 빌 앤더슨(Bill Anderson, 56)을 바이엘의 새 CEO로 선임하였다고 9일 밝혔다.빌 앤더슨은 오는 4월 1일부터 경영진의 일원으로 바이엘에 합류할 예정이며, CEO로서의 임기는 6월 1일 부터 시작된다. 그는 지난해 중반부터 시작된 철저한 선임 과정을 통해 만장일치로 당선되었다. 바이엘에서 35년간 근무한 현 CEO인 베르너 바우만(Werner Baumann, 60) 은 빌 앤더슨과 긴밀히 협력해 순조로운 인수인계를 마친 뒤 2023년 5월 말 은퇴할 예정이다.화학공학을 전공한 빌 앤더슨은 가장 최근에는 로슈(Roche)의 제약사업부 CEO로 재직하면서 포괄적인 혁신 프로그램을 성공적으로 이끌었고, 이를 통해 수많은 성공적인 신...
앱솔로지가 2월 6일부터 9일까지 UAE 두바이에서 열린 중동 의료기기 전시회 MedLab에 참가하여 아랍에미레이트(UAE)와 카타르, 이탈리아 등 3개국 딜러와 총 50억원대의 수출 계약을 체결했으며, 현재 10개국 20여개 딜러들과 무려 300억 원 이상의 수출 협상을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회사 측에 따르면 이번에 계약한 UAE의 네오사이언스와 카타르 사이언티픽, 이탈리아의 유로스피탈 등 3개 딜러와는 코로나 기간 중에도 수차례 비즈니스 상담을 진행해왔으며 마침내 MedLab에서 만나 계약서에 서명함으로써 결실을 맺었다.앱솔로지는 미세유체역학 플랫폼을 적용한 현장진단(POCT) 기반의 고감도 체외 면역진단 플랫폼 「앱솔(ABSOL)」과 초고...
툴젠은 세라트젠과 세포이식용 하이드로젤 기능강화 줄기세포 개발을 위한 공동연구계약을 체결했다.양사는 이번 공동연구를 통해 허혈성 질환 환경에서 줄기세포의 기능과 생존에 관련된 유전자들을 교정하고 고기능성 세포이식용 하이드로젤을 접목하여 치료후보물질을 개발하고 검증할 예정이다.현재 대부분의 줄기세포치료제는 병변으로 이식 시 생존율 저하로 인해 병변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필요성이 있는데 허혈성 질환 환경 맞춤기능과 생존에 관련된 유전자들을 교정하게 되면 세포의 생존율 및 기능이 증가할 수 있으며, 이를 고기능성 세포이식용 하이드로젤과 융합하여 세포-조직공학 치료제를 개발하게 된다면 줄기세포의 생존율을...
에이아이메딕이 명지병원과 ‘심혈관질환 검진서비스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9일 밝혔다.양사는 이번 업무협약 체결을 통해 ‘On Site CT-FFR’ 기반의 심혈관질환 건강 검진 서비스 사업를 개발하고, 심혈관질환 진단 및 치료 방법에 대한 서비스와 정보 등을 공유할 예정이다.에이아이메딕은 명지병원과의 연구개발을 통해 자체적으로 개발 중인 제품들의 실용화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며, 심혈관질환 관련 인공지능 등 소프트웨어 의료기기에 대한 서비스와 정보를 바탕으로 후속 제품 개발에도 나설 예정이라고 밝혔다.에이아이메딕 심은보 대표는 “명지병원은 2022년 경기북서부에서 처음으로 심장이식수술에 성공한 심장...
이루다는 국제미용성형학회(IMCAS World Congress 2023, 이하 IMCAS 2023)에 참가해 우수한 기술력을 선보였다고 9일 밝혔다.‘IMCAS 2023’은 글로벌 미용성형학회로 매년 전 세계 미용성형 의료진이 참석해 전문적인 지식을 공유하고 최신 학술 및 기술을 공유하고 있다. 평균 320여개의 글로벌 성형 및 피부 분야 전문가들이 모여 최신 기술 및 지견을 나누며 올해에는 지난달 26일부터 28일까지 프랑스 파리에서 열려 130여개국 약 1만4000여명이 참석했다.이루다는 이번 학술대회에서 전시부스와 토크 세미나에 참여했으며 주력 제품 ‘시크릿 듀오(secret DUO)’와 ‘벨로체(VELOCE)’ 등을 선보였다. 오픈 스테이지 라이브토크 세미나(OPE...
대웅제약은 자사 보툴리눔 톡신 ‘나보타’(NABOTA)가 지난 1월 20일 싱가포르에서 품목허가를 획득했다고 9일 밝혔다.싱가포르 보건과학청(Health Sciences Authority)의 허가를 받은 품목은 나보타 100유닛으로, 대웅제약은 지난 2021년 9월 품목허가를 신청한 지 1년 5개월 만에 허가를 획득했다고 전했다.대웅제약은 올해 3분기 싱가포르에 나보타를 발매할 계획이며, 싱가포르증권거래소(SGX) 상장사 하이픈스 그룹(Hypens Group)의 자회사인 하이픈스 파마(Hyphens Pharma Pte Ltd)가 현지 유통 및 판매를 담당한다.박성수 대웅제약 부사장은 “싱가포르는 아시아 미용 및 의료 산업에 미치는 영향력이 큰 국가”라며, “국내 보툴리눔 톡신...
로킷헬스케어는 신부전 치료 패치 논문 SCI급 국제 학술지 게재 기념 온라인 국제 심포지움을 개최한다고 9일 밝혔다.해당 심포지움은 ‘3D 바이오 프린팅 기술이 신장 재생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방법’, ‘단일 세포 염기서열 분석이 임상 연구에서 어떻게 사용될 수 있는가’ 등을 주제로 진행된다.신장 재생 치료 및 단세포 분석에 관심이 있는 연구자와 의료 관계자는 누구나 회사 유튜브 채널을 통해 생방송으로 심포지움에 참여 가능하다. 이번 심포지움에서는 ▲인공지능, 3D 프린팅, 단세포 분석을 결합한 혁신 기술로 개인화된 신장 재생기술 ▲3D 바이오 프린팅 기술이 신장 재생 효율성 향상 방법 ▲임상 연구에서 단일 세포 분석의...
케이메디허브는 의료기술과 헬스케어 산업의 활발한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기 위해 9월 제주도에서 혁신 의료기술 비즈니스 네트워킹 행사인 ‘메디텍’을 개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케이메디허브는 한국대학기술이전협회, 한국기술지주회사협회, 한국연구소기술이전협회,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과 함께 총 6개 기관 공동으로 7일 한국프레스센터에서 ‘MEDITEK 조직위원회’를 발족했다.의료기기 및 헬스케어 분야의 협업 생태계 밸류체인에 진입할 수 있는 실질적 기회를 제공하는 것은 물론, 기존 제품 판로 개척 중심의 플랫폼에서 기술기반 오픈 이노베이션을 통한 글로벌 시장 진출을 모색할 수 있는 의료기기 분야...
카나리아바이오는 난소암 신규환자 대상으로 진행하고 있는 오레고보맙의 글로벌 임상3상 인도 사이트를 9개 추가했다고 8일 밝혔다.9개 사이트가 인도에서 추가되면서 이번 임상3상은 총 16개 국가 161개 사이트에서 진행되게 되었다.카나리아바이오에 따르면 코로나로 인해 환자 모집이 지연되면서 130개 사이트로 진행하려 했던 임상 계획을 변경해 최대 160개 사이트로 늘리겠다 발표했던 수정 계획을 달성했다고 전했다.국내에서는 서울대병원과 분당서울대병원, 세브란스병원, 서울성모병원, 고대안암병원, 서울아산병원, 국립암센터가 참여 중이며, 지난해 12월 삼성서울병원, 고대구로병원이 신규 사이트로 추가되었다.이번 글로벌 임상 ...
대웅제약은 파이비 실라누키(Päivi Sillanaukee) 핀란드 외교부 보건복지대사(Ambassador of Health and Wellness, Ministry for Foreign Affairs)가 이끄는 사절단이 지난 7일 자사 본사를 방문해 오픈 콜라보레이션 방안을 논의했다고 8일 밝혔다.파이비 실라누키 대사를 비롯해 핀란드 정부, 공공 및 민간 파트너로 구성된 사절단은 디지털 헬스케어 및 데이터 분야에 강점을 가진 국내 주요 대학병원 및 제약사를 만나기 위해 지난 6일부터 이틀간 한국을 방문했다.대웅제약은 앞선 작년 12월 핀란드 주요 바이오 클러스터 내 제약·바이오·디지털 헬스케어 분야 스타트업과 연구기관을 방문했으며, 유망 핀란드 스타트업과 대웅제약이 보육...
신테카바이오가 8일 상장 후 3년간 AI 신약개발 플랫폼으로 매출이 없는 이유와 합성랩을 갖추고 임상진입을 시도하는 타사와 움직임이 다른 이유, 공동연구 프로젝트 중단 이유 등을 담은 입장을 홈페이지를 통해 발표했다고 밝혔다.신테카바이오는 AI 신약 클라우드 플랫폼 ‘STB CLOUD’를 중심으로 올해를 매출 성장의 원년으로 삼고 관련 사업을 추진 중이라고 설명했다. 지난 1월 열린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에서의 성과로 BIO EU, BIO US, BIO JAPAN 등 다양한 학회를 통한 비즈니스 미팅을 지속할 예정이라고 전했다/회사 관계자는 “현 추세를 감안하면 기술상장기업 특례상장 유지조건(2025년까지 연 매출 30억원)을 충족할 수 있을...
항체약물접합체(ADC)인 엔허투(Enhertu)를 통해 HER2 유방암 분야에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일본 다이이찌산쿄(Daichii Sankyo)가 mRNA 백신 공장 건설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일본 니케이 아시아(Nikkei Asia) 뉴스에 따르면, 다이이치산쿄는 본사가 있는 동경에서 한 시간 떨어진 키타모토에 코로나19 mRNA 공장 건립을 진행 중인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앞서 다이이찌산쿄는 올해 1월 일본정부에 mRNA 코로나 백신 승인 신청을 한 바 있어 백신 생산을 위한 공장일 가능성이 높게 쳐지고 있는 것. 키타모토는 다이이찌산쿄의 자회사 다이이찌산쿄 바이오텍의 소재지다.추측대로라면 건립되고 있는 키타모토 공장은 일본 최초의 mRN...
한독은 지난 31일 엘에스일렉트릭과 친환경 사업장 조성에 관한 계약을 체결했다고 8일 밝혔다.한독은 올해 2월 공장에너지관리시스템과 태양광 설비 구축을 시작해 8월에 준공을 하고 하반기 이를 본격적으로 가동할 예정이다. 한독 측에 따르면 공장에너지관리시스템(FEMS, Factory Energy Management System)은 스마트팩토리의 에너지분야 통합운영관리시스템으로 에너지 낭비와 손실을 줄여 효율을 높이고 다양한 신재생에너지를 통해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설비이다.한독은 공장에너지관리시스템 도입으로 연간 약 1,276MWh 이상의 신재생에너지를 생산하게 된다. 이는 연간 약 595톤의 이산화탄소를 줄이는 효과로 소나무 약 42,714 그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