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윤화 국립교통재활병원 교통재활연구소 연구교수가 지난달 10일 서울 과학기술컨벤션센터에서 열린 2025 세계 한인 과학기술인대회에서 ‘과학기술우수논문상’을 받았다고 밝혔다.이 상은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가 매년 창의적인 연구 성과를 낸 과학기술자에게 주는 국내 대표 학술상이다.정 교수는 「의사 인력의 수급 현황과 추세에 따른 적정 조정」 논문으로 수상했다. 이 논문은 보건행정학회지에 실렸으며, 의사 인력 분포와 수급 현황을 분석해 적정 인력 규모를 제시했다.한편, 교통재활연구소는 국토교통부 설립, 서울대병원 위탁 운영 기관으로 자동차 사고 손상 재활과 의료 전달체계 개선을 위한 임상 및 정책 연구를 진행하고
심승혁 건국대병원 산부인과 교수가 ‘제35회 과학기술우수논문상’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수상 논문은 ‘초기 상피성 난소암에서 림프절 절제술의 생존 효과’를 분석한 연구로, 국제학술지 Journal of Gynecologic Oncology 2024년 7월호에 게재됐다.심 교수는 임상 초기 단계의 상피성 난소암 환자 586명을 대상으로 림프절 절제술의 효과를 조직형에 따라 분석했다. 전체 생존율에는 큰 차이가 없었지만, 장액성(serous) 조직형 환자에서는 림프절 절제가 5년 무병생존율을 74.4%에서 86.5%로 높이는 효과를 보였고, 재발 위험은 72% 낮아졌다. 반면 점액성, 명세포성 등 다른 조직형에서는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이번 연구는 난
송원근 한림대학교강남성심병원 진단검사의학과 교수가 ‘2025 세계 한인과학기술인대회’에서 과학기술우수논문상을 받았다고 밝혔다.수상 논문은 2015년부터 5년간 병원 내 입원 환자 499명을 대상으로 카바페넴 내성 녹농균(CRPA)에 의한 요로감염의 유전자형 분포, 항생제 감수성, 위험 인자 및 사망률을 분석한 연구다. 해당 논문은 2024년 대한진단검사의학회지에 발표됐다.카바페넴은 다제내성균 치료에 쓰이는 강력한 항생제지만, 최근 CRPA가 급증하며 치료가 어려운 ‘슈퍼박테리아’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연구 결과, 2019년 이후 CRPA 감염이 급증한 배경에는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항생제 사용 증가와 감염 관리 약화가 작용한 것으
박일호 고대구로병원 이비인후·두경부외과 교수가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로부터 ‘제35회 과학기술우수논문상’을 수상했다고 밝혔다.‘과학기술우수논문상’은 국내 과학기술 분야에서 우수한 연구 성과를 거둔 논문을 선정해 수여하는 상으로, 학술적 완성도와 과학기술 발전에의 기여도를 종합적으로 평가해 수상작을 결정한다.박일호 교수는 ‘공기 오염 물질이 비강 점막의 구조적 세포에서 알레르기 염증에 미치는 영향(Effect of Air Pollutants on Allergic Inflammation in Structural Cells of the Nasal Mucosa)’이라는 주제의 논문으로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해당 연구는 미세먼지를 비롯한 대기오염 물질이 비강 점막 내 세포
김한구 중앙대병원 성형외과 교수가 ‘제35회 과학기술우수논문상’을 받았다고 밝혔다. 김 교수는 국제 학술지 ‘Archives of Plastic Surgery’에 발표한 방사선 유도 구형구축 모델에서 무세포 동종진피와 광배근 피판의 효과를 비교한 논문으로 높은 평가를 받았다.유방삽입물 재건 시 발생하는 구형구축은 유방 모양 변형과 통증을 유발하는 주요 합병증이다. 김 교수는 보형물을 무세포 동종진피로 감싸는 방법과 자가 조직인 광배근 피판으로 감싸는 방법의 예방 효과를 실험했다. 결과는 두 방법 모두 구형구축 위험을 비슷하게 낮추며, 의미 있는 차이가 없음을 증명했다.김한구 교수는 “무세포 동종진피 사용 시 수술 시간 단축과 공여
박성철 강원대학교병원 소화기내과 교수가 지난 8~10일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열린 ‘2025 세계 한인 과학기술인대회’에서 제35회 과학기술우수논문상을 수상했다고 밝혔다.해당 상은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가 창의적 연구성과를 인정받은 우수 논문 저자에게 수여하는 상으로, 국내 과학기술 발전에 기여한 연구자에게 매년 수여된다.박 교수는 대한소화기학회 공식 학술지 Kore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에 게재한 논문에서, 심장발목혈관지수(CAVI)와 발목상완지수(ABI)를 이용해 죽상경화증과 고위험 대장 샘종의 상관관계를 분석했다.그 결과, 심장발목혈관지수가 고위험 대장 샘종의 유의미한 예측 인자로 작용할 수 있다는 사실을
최광성 인하대병원 피부과 교수가 최근 ‘제35회 과학기술우수논문상’을 수상했다고 15일 밝혔다.이 상은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가 전년도에 발표된 국내 논문을 심층 평가해 우수성을 인정받은 연구자에게 수여하는 권위 있는 상이다. 이학, 공학, 농수산학, 보건, 종합 등 5개 분야에서 창의적인 연구 성과를 낸 과학기술인에게 주어진다.최 교수의 수상 논문은 Annals of Dermatology(대한피부과학회 영문저널) 2023년 2월호에 게재된 「The Quality of Life and Psychosocial Impact on Female Pattern Hair Loss」이다. 국문 제목은 「여성형 탈모증 환자의 삶의 질 및 심리사회적 영향에 대한 연구」로, 여성형 탈모 환자가 겪는 정서적
서울대학교병원운영 김동현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 영상의학과 교수가 ‘제35회 과학기술우수논문상’을 받았다고 밝혔다. 이 상은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가 매년 뛰어난 연구 성과를 낸 과학기술자에게 수여하는 국내 권위의 학술상이다.김 교수 연구팀은 ‘딥러닝 기반 인공지능 모델(U-Net)을 활용한 척추 MRI 골전이 자동 탐지 및 분할’ 연구를 통해 이번 상을 받았다. 해당 논문은 영상의학 분야 학술지인 Korean Journal of Radiology에 게재됐다.골전이는 폐암, 유방암, 전립선암 환자에게 흔한 합병증으로, 척추 전이 시 병적 골절과 신경 손상 등 심각한 문제를 초래해 조기 진단이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척추 MRI 판독은 수백 장의
서울대병원 이비인후과 권성근 교수가 지난 11일,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가 제정한 ‘제34회 과학기술 우수논문상’을 수상했다.과학기술 우수논문상은 과학기술자의 연구 의욕을 고취하고 활발한 연구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해 제정된 상이다. 전년도 과학기술분야 국내학술지에 발표된 논문 중 각 학회 및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의 엄정한 심사로 우수논문을 선정하고, 해당 논문의 연구책임자에게 이 상을 수여한다.권 교수는 기도질환 치료의 전문가로, 혀 축소술의 안전성과 효과성을 검증한 ‘베크위트-비데만 증후군 환자의 수술 예후 분석’ 연구로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베크위트-비데만 증후군(Beckwith-Wiedemann Syndrome)은 신생
인제대학교 부산백병원 진단검사의학과 신정환 교수가 ‘2024년도 제34회 과학기술우수논문상’을 수상했다.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회장 이태식)에서 주관하는 과학기술우수논문상은 매년 창의적인 연구 활동으로 국내 학술지에 우수 논문을 발표한 과학기술인에게 수여된다. 우리나라 과학기술 분야에서 권위의 학술상으로 평가된다.신정환 교수는 보건 분야 수상자 명단에 이름을 올렸으며, 선정된 논문에는 과총 회장상이 수여됐다. 해당 논문은 13가 폐렴구균 단백접합백신 도입 후 2017년부터 2019년까지 국내 침습성 폐렴구균의 혈청형 분포와 항균제 내성에 대한 연구다.신정환 교수는 임상미생물 및 감염질환의 분자진단을 세부전공으...
고신대학교복음병원(병원장 최종순) 정형외과 김지연 교수가 7월 11일 서울 강남구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열린 제2회 세계 한인 과학기술인대회 행사에서 제34회 과학기술 우수논문상을 수상했다.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가 주관하는 과학기술 우수논문상은 1991년에 처음 제정된 상으로, 전년도 국내 학술지에 발표된 논문 중 학회별로 가장 우수한 논문을 한 편씩 추천받아 엄정한 심사를 거쳐 수상자를 선정하는 권위 있는 상이다.김지연 교수는 ‘족부족관절에 발생한 연부조직 육종에서 진단이 지연되었을 때 예후에 미치는 영향’이라는 연구로 우수논문상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는 병원측의 설명이다.이 연구는 족부족관절에 생긴 육종, 즉...
노원을지대학교병원(병원장 유탁근) 성형외과 이종훈 교수가 제2회 세계 한인 과학기술인대회에서 제34회 과학기술 우수논문상을 수상했다는 소식이다.이종훈 교수는 ‘창상 치유에서의 마그네슘 및 MAGT1의 억제에 의한 THP-1 유래 대식세포의 분극화’로 상처 치유의 다양한 기전으로 마그네슘과 대식세포와 관련된 영향에 관한 연구로 이 상을 받았다.이 교수는 “최근 고령화 및 감염 등에 의한 난치성 창상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연구를 통해 보다 효과적인 창상치유 방법을 도모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며 “지난 2013년에도 과학기술 우수논문상을 받았는데 10년 만에 다시 한번 수상하게 돼 더 기쁘다”며 소감을 밝혔다.한편 세계 한인 과...
한림대학교동탄성심병원 비뇨의학과 한준현 교수는 7월 6일 ‘제33회 과학기술우수논문상’을 수상했다고 밝혔다.과학기술우수논문상은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가 1991년부터 선정하고 있는 국내 과학기술계 최고 권위의 학술상 중 하나다. 400여개의 과학기술 관련 학회가 추천한 논문을 심사해 이학, 공학, 농수산학, 보건 등 이공계 전 분야의 연구 우수자를 선정해 시상한다.한준현 교수는 ‘비만과 대사 건강상태가 요로결석 발생위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대규모 인구 기반 연구(Effect of obesity and metabolic health on urolithiasis: A nationwidepopulation-based study)’로 국내 요로결석 분야의 연구 수준을 높이는 데 기여한 ...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산부인과학교실 안기훈 교수가 7월 4일 부터 7일까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최로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개최된 ‘제1회 세계한인과학기술인대회’에서 ‘제 33회 과학기술우수논문상’을 수상했다.안기훈 교수는 국제학술지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를 통해 발표한 논문 ‘COVID-19 and vaccination during pregnancy: a systematic analysis using Korea National Health Insurance claims data’의 우수성을 인정받아 보건부문에서 이번 수상의 주인공이 됐다.안기훈 교수는 해당 논문에서 2019년부터 2021년까지 국민건강보험 청구자료를 활용해 COVID-19 및 임신 중 예방접종에 대해 분석했다. 연구 결과 COVID-...
인제대학교 일산백병원 가정의학과 양윤준 교수가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이하 과총)에서 수여하는 '제33회 과학기술우수논문상'을 수상했다. 시상식은 7월 6일 강남구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열린 '제1회 세계 한인 과학기술인대회'에서 진행됐다.우수 논문상에 선정된 연구는 '대한민국 신체활동 현황'으로, 양윤준 교수는 신체활동 연구 전문가로서 한국인의 부족한 신체 활동량을 객관적 자료로 제시, 건강증진을 위한 신체활동 필요성을 강조했다.'과학기술 우수논문상'은 국내 과학기술계 최고 권위 학술상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1991년부터 시상해 오고 있는 이 상은 위원회 심사를 거쳐 이학, 공학, ...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내분비내과 김경진 교수가 지난 6월 29일 개최된 ‘2022 대한민국과학기술연차대회’에서 제 32회 과학기술우수논문상을 수상했다.김경진 교수는 대한당뇨병학회지를 통해 발표한 논문 ‘Time to Reach Target Glycosylated Hemoglobin Is Associated with Long-Term Durable Glycemic Control and Risk of Diabetic Complications in Patients with Newly Diagnosed Type 2 Diabetes Mellitus: A 6-Year Observational Study’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김남훈 교수팀)의 우수성을 인정받아 이번 수상의 주인공이 됐다.김경진 교수는 해당 논문을 통해, 새로 당뇨를 진단받은 뒤 조기에 당화혈색소 수치를 목표 수준(당화혈색소...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진단검사의학과 오은지 교수가 6월 29일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개최하는 ‘2022 대한민국 과학기술연차대회’에서 제 32회 과학기술우수논문상을 수상했다.오은지 교수는 ‘12개의 상용화된 SARS-CoV-2 항체면역분석법을 이용한 COVID-19 환자의 항체반응 및 혈청 전환 비교’(교신저자)에 대한 연구로 우수논문상 수상자로 선정됐다.연구는 임상적 유용성이 높은 제2형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코로나바이러스(SARS-CoV-2) 항체를 분석하여 감염병 대유행을 관리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팀은 12종의 서로 다른 면역분석 체외진단제품을 사용하여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COVID-19) 환자의 항체반응을 평가하였으며...
한림대학교강남성심병원 정형외과 노규철 교수팀(제1저자 이호원 교수·교신저자 노규철 교수)은 9월 10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2021 대한민국 과학기술연차대회에서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가 주관한 제31회 과학기술우수논문상을 수상했다.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는 매년 국내 과학기술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중 학회별로 가장 우수한 논문을 한 편씩 추천받아 수상자를 선정하는 과학기술계의 권위 있는 상이다. 노규철 교수팀은 한국정형외과학회지(Impact Factor=2.83)의 심사 및 추천을 받았으며 노규철 교수팀을 비롯한 국내 250명의 과학기술자가 수상자로 선정됐다.노규철 교수팀은 ‘혈소판 풍부 혈장의 조직치유와 관련된 단백질...
한양대학교병원 감염내과 김봉영 교수가 지난 9월 10일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엽합회가 주최한 ‘2021 한국과학기술연차대회’에서 ‘과학기술 우수논문상’을 수상했다.‘과학기술 우수논문상’은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에서 주관하는 행사로 창의적인 연구활동을 통해 우수한 논문을 발표한 과학기술자를 선정하여 학회별 추천을 받아 심사를 거쳐 과학기술 수준 향상과 선진화에 기여한 연구자에게 수여하는 상이다.김 교수가 수상한 논문의 제목은 ‘한국 지역사회에서 획득한 요로감염으로부터 분리된 시프로플록사신 내성 대장균의 분자 역학’(Molecular Epidemiology of Ciprofloxacin-Resistant Escherichia coli Isolated from Commun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