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북목(Forward Head Posture)과 일자목(Straight Neck)은 정상적인 C자형 경추 곡선이 무너진 상태다. 이로 인해 머리의 무게가 고스란히 목 근육과 인대, 디스크에 전달되면서 과도한 압력이 쌓이고 결국 목디스크(경추 추간판 탈출증)로 이어질 수 있다.
과거에는 목디스크가 주로 노화에 따른 퇴행성 질환으로 여겨졌지만, 최근엔 30~40대 젊은 층에서도 발병률이 크게 늘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거북목·일자목으로 병원을 찾은 30~40대 환자 수는 2020년 129만 명에서 2024년 149만 명으로 약 15% 증가했다. 잘못된 자세를 단순한 체형 문제로 넘기지 말고, 조기 관리와 치료가 필요한 '경고 신호'로 인식해야 한다.

거북목이 진행되면 경추 배열이 무너지며 디스크에 가해지는 압력이 커진다. 결국 디스크가 탈출하거나 파열돼 신경을 압박하게 되고, 다양한 증상이 나타난다.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뒷목·어깨·견갑골 통증, 팔 저림·감각 이상, 손에 힘이 빠지거나 물건을 자주 떨어뜨리는 증상, 두통·어지럼증·시야 피로 등이 있다.
심해지면 근력 저하, 보행 이상, 배변 장애 등 중증 신경학적 증상으로 발전할 수도 있다.
권진원 센트럴병원 척추통증센터장은 “디지털 기기 사용이 일상화되면서 자세 불균형이 고착화되는 젊은 환자가 많아졌다”며 “초기에는 증상이 거의 없다가 갑자기 악화되기도 하므로, 이상 신호가 느껴진다면 지체 없이 진료를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거북목이나 일자목이 초기 단계라면 자세 교정, 스트레칭, 도수치료 등 비수술적 치료만으로도 회복이 가능하다. 가벼운 통증은 약물로 조절할 수 있으며, 신경 증상이 나타나면 실시간 영상 장비(C-ARM)를 이용한 신경차단술을 통해 통증을 빠르게 완화할 수 있다.
디스크 병변이 진행되거나 신경 유착이 발생하면 신경성형술, 고주파 수핵감압술, 프롤로치료 같은 비수술 시술이 고려된다. 하지만 이런 치료에도 호전이 없고, 감각 소실이나 근력 저하가 생기면 수술을 피할 수 없다.
최근에는 양방향 척추내시경 수술처럼 고화질 내시경으로 병변을 정확히 제거하는 최소 침습 수술법이 적용되고 있다. 절개 범위가 작고 회복이 빨라 환자 부담이 적은 것이 특징이다.
권 센터장은 “목이나 어깨가 자주 뻐근하거나, 팔 저림, 두통이 반복된다면 단순한 피로가 아니라 목디스크의 초기 신호일 수 있다”며 “디지털 기기 사용 시간을 줄이고, 바른 자세를 유지하며, 증상이 지속되면 반드시 진단을 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임혜정 하이뉴스(Hinews) 기자
press@hi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