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리디스크와 척추관협착증은 대표적인 척추 질환이지만, 통증 양상과 원인이 다르기 때문에 정확한 구분이 중요하다. 단순히 허리가 아프다고 진통제나 파스에 의존하기보다는 병원을 찾아 정밀 검사를 받아야 한다.

허리디스크는 추간판 내부의 수핵이 빠져나와 신경을 압박하면서 발생한다. 주로 허리를 굽히거나 오래 앉아 있을 때 통증이 심해지고, 엉덩이나 다리까지 저림 증상이 동반된다. 예전에는 중장년층에서 흔했지만 최근에는 잘못된 자세, 운동 부족, 앉아 있는 생활이 늘면서 20~30대 젊은 층에서도 환자가 늘고 있다.

이동엽 참포도나무병원 척추센터 원장
이동엽 참포도나무병원 척추센터 원장
반면 척추관협착증은 노화에 따라 척추관이 좁아지면서 신경이 눌리는 질환이다. 걸을 때 다리나 엉덩이가 당기듯 아프다가 잠시 쉬면 나아지는 ‘간헐적 파행’이 대표적인 증상이고, 허리를 구부리면 통증이 줄어드는 특징이 있다. 허리디스크와는 달리 척추관협착증은 허리를 구부리는 자세를 오히려 선호하게 된다.

두 질환 모두 수술 없이도 증상이 충분히 나아질 수 있다. 조기에 병원을 찾아 적절한 비수술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체외충격파, 도수치료, C-arm 주사치료 등 다양한 비수술적 접근이 가능하며, 증상과 진행 정도에 따라 치료법을 선택하게 된다.

도수치료는 잘못된 자세나 만성 통증으로 인해 틀어진 몸의 균형을 바로잡고, 짧아진 근육이나 약해진 인대를 회복하는 데 도움을 준다. 단순한 마사지와는 다르며 해부학적 지식이 있는 의료진 손길이 필요하다.

C-arm 주사치료는 영상장비를 통해 병변 부위를 실시간으로 보며 약물을 정확히 주입하는 방식이다. 통증 부위만을 타겟으로 삼기 때문에 불필요한 조직 손상을 줄이고, 회복 속도도 빠르다. 특히 통증이 오래되었거나 수술이 부담스러운 경우 고려할 수 있는 방법이다.

허리통증은 시간이 지나면 괜찮아지겠지 하며 방치하기 쉽지만, 증상이 반복되거나 점점 심해진다면 이미 치료 시기를 놓친 경우가 많다. 대부분의 척추질환은 수술까지 가지 않아도 치료 개선을 기대할 수 있어 통증이 시작될 때 병원을 찾는 게 가장 빠르고 확실한 방법이다.

(글 : 이동엽 참포도나무병원 척추센터 원장)

저작권자 © H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