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news 하이뉴스] 삼성서울병원 연구팀이 아토피피부염 아동의 식습관에 따라 장내 미생물 구성과 가려움 증상에 차이가 있음을 밝혀냈다. 이번 연구는 아토피 환아 관리에 맞춤형 식이 전략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연구진은 3~6세 아토피피부염 환아 24명과 건강한 아동 51명을 대상으로 식습관을 ‘한식 위주 식단’과 ‘간식 중심 식단’으로 나누어 분석했다. 간식 중심 식단은 밥보다 간식 섭취가 잦아 주식 섭취가 줄어드는 아동기의 특징을 반영했다.

한식 위주 식단을 따른 아동은 가려움으로 인한 수면 방해 점수가 1.75로 낮았지만, 간식 위주 식단 아동은 3.5점으로 두 배나 높았다. 삶의 질 평가에서도 한식 위주 아동은 2.34점, 간식 중심 아동은 7.25점으로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이 같은 차이는 ‘장-피부 축(gut-skin axis)’과 관련 있다. 간식 위주의 식사 아동은 ‘도레아’와 ‘애너로스티페스’라는 장내 미생물이 많이 발견됐으며, 이 미생물들은 심한 가려움과 낮은 삶의 질과 연관됐다.

반면 한식 위주 식단을 먹은 아동과 건강한 아이들의 장내에는 ‘오실리박터’라는 유익균이 풍부했다. 특히 김치 섭취가 많을수록 오실리박터가 증가했으며, 이 균이 많을수록 가려움 완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비타민 C 섭취가 적은 아동일수록 아토피 증상 지표가 더 높게 나타났다.

(왼쪽부터) 정민영 삼성서울병원 교수, 김혜미 부산대 교수, 임지현 UNIST 교수 (사진 제공=삼성서울병원)
(왼쪽부터) 정민영 삼성서울병원 교수, 김혜미 부산대 교수, 임지현 UNIST 교수 (사진 제공=삼성서울병원)
정민영 삼성서울병원 교수는 “아토피 환아는 무분별한 음식 제한보다 균형 잡힌 식단과 맞춤형 영양 관리가 중요하다”며 “이번 연구가 아토피 식이 관리에 기초 자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 지원으로 진행됐다.

저작권자 © H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