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철 추운 날씨로 인해 기모 레깅스나 롱부츠를 즐겨 착용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옷차림은 하지정맥류를 악화시킬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하지정맥류는 다리의 정맥 속 판막이 손상돼 혈액이 역류하면서 발생하는 질환이다. 정맥 내 판막은 혈액이 심장 쪽으로 정상적으로 흐르도록 돕는 역할을 하는데, 이 기능이 저하되면서 다양한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특히 겨울철에는 실내외 온도 차가 커지면서 혈관이 수축과 팽창을 반복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혈관 손상이 가속화될 수 있다. 또한 추운 날씨로 인해 착용하게 되는 기모 레깅스나 롱부츠는 다리를 과도하게 압박해 혈액순환을 방해할 수 있다.이러한 하지정맥류
하지정맥류는 여성에서 흔한 정맥순환장애 질환이다.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2020년 하지정맥류로 진료를 받은 21만여 명의 환자 가운데 여성이 14만5000여명으로 약 69%에 달했다.다리 정맥에는 60여개의 판막이 있다. 판막은 다리로 내려온 혈액이 역류하지 않고 심장으로 다시 올라갈 수 있도록 도와준다. 하지만 판막이 다양한 이유로 약화되면 혈액 역류를 막지 못하고 피가 다리에 몰려 혈관이 팽창하고 구불구불한 혈관이 도드라 진다.하지 혈액순환에 문제가 생기면서 다리의 부종, 경련, 둔중감, 가려움, 쥐남, 통증, 염증, 작열감 등이 일어난다. 정식 병명은 ‘만성 정맥질환’(만성 정맥부전, Chronic Venous Insufficiency)이지
겨울철 실내 난방기와 히터 사용으로 실내·외 온도 차와 극심한 건조함이 이어지면서 건선, 아토피, 지루성피부염, 안면홍조 등의 피부질환이 새롭게 발병하거나 악화돼 고생하는 환자들이 많다. 특히 안면홍조는 얼굴에 집중적으로 나타나는 증상으로 대인관계에 영향을 미쳐 치료를 고민하는 경우가 많다.안면홍조는 안면부위(얼굴)가 과도하게 붉어지는 증상과 함께 열과 땀, 심장 박동이 빨라지게 된다. 이러한 홍조 증상이 얼굴에 주로 나타나는 이유는 볼 부위에 혈관 분포가 많고, 얼굴의 피부층이 얇아 실내외 온도 차이에 쉽게 노출되기 때문이다. 점차 증상이 심해져 악화되면 목, 머리, 가슴, 부위 등으로 병변이 늘어날 수 있다.해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