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news 하이뉴스] 라식·라섹과 같은 시력교정술을 받고 난 뒤 좋은 시력을 오래 유지할 수 있다면 더할 나위 없겠지만, 수년이 지나 다시 시력이 떨어지는 경험을 하는 사람들도 있다. 한번 수술한 이후 다시 시력이 나빠지는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근시 퇴행’이 가장 큰 이유로 꼽힌다.

근시퇴행이 나타나면 적절한 정밀검사를 통해 어떤 방법으로 재수술이 가능한지 확인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근시퇴행이란 레이저로 깎아낸 각막이 시간이 지나면서 다시 두꺼워져 굴절값이 변하는 현상을 말한다. 라식·라섹 수술은 각막을 평평하게 깎아 굴절력을 조정하는 방식인데, 간혹 세월이 흐르면서 각막이 재생돼 시력이 떨어질 수 있다.

김준현 압구정안과의원 대표원장
김준현 압구정안과의원 대표원장
또한, 수술 전 고도근시나 악성근시였던 사람의 경우, 깎아낸 각막 상태는 그대로지만 안구의 길이(안축장)가 계속 길어지면서 근시가 더 진행될 수도 있다.

수술 후 근시퇴행이 올 확률은 나이, 시술 의사, 수술 방법, 수술 환경, 유전적 요인 등 다양한 변수가 있어 정확히 예측하기 어렵다. 다만, 근시도가 높을수록 각막 절삭량이 많아지기 때문에 발현 확률이 높고, 라식보다 라섹을 받은 사람에게서 더 자주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근시퇴행이 발생하면 재수술을 통해 시력을 다시 교정할 수 있으며, 잔여 각막 상태에 따라 기존 수술법과 다른 방법을 선택하기도 한다. 하지만 이미 각막을 한 번 절삭한 상태에서 또다시 레이저로 시력교정을 하는 것 보다는 더 안전한 방법으로 EVO+ ICL 렌즈삽입술이 많이 시행된다.

EVO+ ICL 렌즈삽입술은 각막을 깎지 않고 홍채 뒤에 특수 렌즈를 삽입하는 방식이라 각막이 다시 두꺼워짐으로 인한 근시퇴행 위험이 없고, 잔여 각막이 얇아도 수술이 가능하다. 또한, 필요할 경우 언제든 삽입한 렌즈를 제거하거나 교체할 수 있어 유연성이 높다.

라식·라섹 후 근시퇴행으로 인한 재수술은 상당한 숙련도가 요구되는 수술이므로 병원 선택에 신중해야 한다. 숙련된 의사는 렌즈삽입술의 경우 단안 기준 3분 이내로 빠르게 수술할 수 있으며, 렌즈 제조사로부터 별도의 인증을 받은 경우가 많으니 이를 확인해보는 것이 좋다.

(글 : 김준현 압구정안과의원 대표원장)

저작권자 © H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