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은행이 임직원들의 자발적 기부로 조성된 ‘우리사랑기금’을 활용해 소아암 아동을 위한 주거비 지원 사업 ‘병원 앞 우리집’을 추진한다고 오늘 밝혔다.이번 사업은 지방 거주 환아와 가족이 치료를 위해 장기간 서울에 머물러야 하는 상황에서 발생하는 주거 부담을 줄이기 위해 마련됐다. 우리은행은 환아 가족이 안정적인 환경에서 생활할 수 있도록 최대 6개월간 임차료를 지원하며, 특히 취약계층 가정을 우선 선발해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할 방침이다.‘병원 앞 우리집’은 단순한 생활비 지원을 넘어 환아가 치료와 회복에 전념할 수 있도록 생활 여건을 조성하는 데 의의가 크다. 이를 통해 환아 가족의 경제적 부담을 덜고, 아동
서울시가 전국 최초로 자녀를 출산한 무주택 가구에 대해 주거비를 지원하는 ‘자녀 출산 무주택가구 주거비 지원사업’을 5월 20일부터 본격 시행한다. 이번 사업은 신혼부부 등 출산 가구의 주거비 부담을 덜어 출산 이후에도 서울에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정책이다.서울시에 따르면, 2025년 1월 1일 이후 출산한 무주택 가구 중 기준 중위소득 180% 이하이면서 전세보증금 3억원 이하, 월세 130만원 이하의 민간 임차주택에 거주하는 가구가 지원 대상이다. 공공임대주택(SH·LH 등) 입주자는 제외된다.지원 금액은 월 최대 30만원으로, 전세대출이자나 월세 실지출액에 따라 지급되며, 선지출·사후 지급 방식으로 6개월 단
울산시가 청년의 지역 정착과 주거 안정을 도모하기 위해 ‘2025년 울산 청년가구 주거비 지원사업’ 대상 가구를 확정했다. 시는 올해 총 1,713가구에 주거비를 현금으로 지원할 계획이다.이번 사업은 만 19세 이상 39세 이하의 무주택 미혼 세대주를 대상으로 하며, 울산시 소재 임대주택에 거주하면서 임차보증금 1억원 이하, 월세 50만원 이하인 청년가구가 지원 대상이다. 소득 요건은 기준 중위소득 150% 이하다.울산시는 기존 수혜자 가운데 올해 기준에 부합하는 886가구와 함께 신규 선정된 827가구를 포함해 총 1,713가구를 지원한다. 총 사업비는 20억원 규모다.지원 기간은 최장 4년(48개월)이며, 월 최대 15만원(임차료 10만원, 임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