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이 커지거나 담낭관을 막으면 오른쪽 윗배 통증 심해져
위염 치료해도 증상 개선 안 된다면 반드시 담석증 의심
담석이 생기는 이유는 다양하다. 지방이 많은 음식을 자주 먹거나 비만인 경우, 체중을 급격히 감량할 경우, 임신했거나 호르몬 변화가 많은 여성인 경우 담석이 생긴다. 다만 전체 담석증 환자의 약 60~80%가 무증상인 것으로 알려진다. 그 이유는 담석이 작거나 담즙의 흐름을 막지 않기 때문이다. 담낭벽이나 주변 기관에 염증을 일으키지 않는 경우에는 특별한 자각 증상이 없다.

증상이 없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경과를 관찰한다. 하지만 예방적 담낭절제술을 하는 경우도 있다. 담석이 1cm 미만일 경우 담관으로 빠져나가면서 담도폐색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고, 담석이 2~3cm 이상으로 크거나, 담낭벽 석회화 증상이 나타나면 담낭용종이나 담낭암 발생 위험이 높아지기 때문에 예방적 담낭절제술을 권유한다.
고윤송 세란병원 복부센터 센터장은 “위염과 담석증은 상복부 통증, 속쓰림, 기름진 음식 섭취후 심해짐과 같은 증상으로 헷갈릴 수 있지만 위염은 명치 통증과 속쓰림 증상이 더 뚜렷하다”며 “담석증은 통증이 심하면 등, 오른쪽 어깨까지 퍼질 수 있다. 만약 위염을 치료해도 증상이 개선되지 않으면 반드시 담석증을 의심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임혜정 하이뉴스(Hinews) 기자
press@hi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