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하·이혜준 중앙대학교병원 가정의학과 교수팀은 국민건강영양조사 데이터를 활용해 65세 이상 노인 6060명을 대상으로 운동 유형(유산소, 근력, 걷기)과 운동 강도, 비만 여부에 따른 삶의 질(EQ-5D)을 분석했다고 밝혔다.
연구 결과, 유산소운동과 근력운동은 삶의 질과 유의미한 관계가 없었으나, 주당 150분 이상 걷기운동을 하는 노인은 걷기운동을 하지 않는 노인보다 삶의 질 점수가 1.71배 높았다.
특히 비만 노인의 경우, 적절한 걷기운동을 하는 그룹은 그렇지 않은 그룹보다 삶의 질 만족도가 2.33배나 높았으며, 비만하지 않은 노인에서도 1.73배 높았다.
걷기운동을 하지 않거나 불충분한 노인은 이동성, 자기관리, 일상활동, 통증·불편감 영역에서 삶의 질 저하 가능성이 컸다.

김정하 교수는 “이번 연구가 노인 삶의 질 향상뿐 아니라 질병 이환율과 사망률 감소에도 중요한 임상·공중보건적 의의를 갖는다”고 덧붙였다.
본 연구는 국제노인의학저널(Geriatrics & Gerontology International) 최신호에 게재됐다.
임혜정 하이뉴스(Hinews) 기자
press@hi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