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진원 고려대 의대 미생물학교실 교수 연구팀이 울릉도 고유종인 울도땃쥐에서 새로운 한타바이러스 ‘울릉바이러스’를 발견했다고 밝혔다. 한타바이러스는 사람에게 신증후군출혈열(HFRS)을 일으키는 병원체로, 국내 치명률은 약 1%다.연구팀은 2009년 울릉도에서 채집한 울도땃쥐 62마리 중 64.5%에서 울릉바이러스 감염을 확인했다. 차세대염기서열분석법(NGS)을 이용해 울릉바이러스의 전장 유전체 염기서열을 처음으로 규명했다.분석 결과, 울릉바이러스는 제주바이러스와 뚜렷이 구별되는 새로운 유전형으로 나타났다. 송 교수는 “이번 연구로 제주바이러스와 다른 한타바이러스를 확인하고 유전적 특성을 체계적으로 규명했다”며, “울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백신혁신센터(센터장 정희진)는 글로벌 제약사 모더나(Moderna)와 효능이 개선된 mRNA 기반 한타바이러스 백신 개발을 위한 협력을 본격적으로 시작했다.매년 300~400명의 한타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신증후군출혈열 환자가 국내에서 발생하고 10명 이내의 사망자가 발생하고 있다. 특히 군복무 중인 20~30대 젊은 남자에서 호발하며, 사망에 이르는 사례가 보고된 바 있다.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이호왕 교수팀이 백신을 개발해 1990년 허가 이후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지만, 최근에 세계보건기구가 신종감염병을 유발할 수 있는 “Disease X” 병원체 중 하나로 한타바이러스를 선정하며 더 넓은 범위의 한타바이러스에 대한 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