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news 하이뉴스] 마크로젠은 강북삼성병원과 함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및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이 주관하는 국책과제 ‘AI 기반 맞춤형 케어서비스 융합 선도’ 1단계에 선정돼 본격적인 공동 연구에 착수했다고 17일 밝혔다.

이번 과제는 ‘페놈데이터 기반 AI 생애 전주기 건강위험 예측 및 관리 기술’ 개발을 목표로 한다. 유전체, 임상, 생활습관 데이터를 기반으로 질환별 합병증 예측 모델을 구축하고, 개인 맞춤형 의료서비스 제공 기술을 구현하는 것이 핵심이다. 총 4년간 최대 110억 원의 연구비가 투입된다.

사업은 1단계 2년간 30억 원, 이후 2단계에서는 최종 선정된 1개 팀에 80억 원이 지원된다. 마크로젠과 강북삼성병원을 비롯해 서울성모병원, 성균관대, 네이버클라우드, 삼성전자 등 총 9개 기관이 컨소시엄으로 참여하며, 총괄책임은 강재헌 강북삼성병원 교수가 맡았다.

“마크로젠과 강북삼성병원을 비롯한 9개 기관이 참여하는 ‘AI 기반 맞춤형 케어서비스 융합 선도’ 국가과제 사업단 출범식이 지난 10일 강북삼성병원에서 개최됐다. (사진 제공=마크로젠)
“마크로젠과 강북삼성병원을 비롯한 9개 기관이 참여하는 ‘AI 기반 맞춤형 케어서비스 융합 선도’ 국가과제 사업단 출범식이 지난 10일 강북삼성병원에서 개최됐다. (사진 제공=마크로젠)
마크로젠은 이번 연구에서 유전체 기반 전향적 데이터 생성, 후향적 분석, 질병 특화 위험지표 구성, 다유전자 위험도 점수(PRS) 알고리즘 개발 등을 담당한다. 28년간 축적된 유전체 분석 경험과 AI 기술을 바탕으로 차세대 AI 헬스케어 플랫폼 구현에 기여할 계획이다.

사업 출범식은 지난 10일 강북삼성병원에서 열렸으며, 9개 기관의 주요 인사와 연구책임자, IITP 관계자 등 40여 명이 참석했다. 마크로젠 서정선 회장도 자리를 함께했다.

서 회장은 “마크로젠의 유전체 분석과 AI 융합 기술이 공공 헬스케어 영역에서 인정받은 의미 있는 계기”라며 “산학연 협력을 통해 국민 누구나 AI 기반의 건강관리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번 프로젝트는 정밀의료와 예방 중심의 헬스케어로의 전환을 앞당기고,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 시대를 여는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저작권자 © H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