쌀값 안정과 수급 균형 위한 선제 대응 논의… 재배면적 감축에도 공감대 형성

농협(회장 강호동)은 지난 22일 서울 중구 농협중앙회 본관에서 「2025년 농협벼전국협의회 정기총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총회에는 강호동 농협중앙회장을 비롯해 박서홍 농업경제대표이사, 이보형 농협벼전국협의회장, 회원 조합장, 농림축산식품부 관계자 등 130여명이 참석했다.

농협(회장 강호동)이 지난 22일 서울 중구 농협중앙회 본관에서 「2025년 농협벼전국협의회 정기총회」를 개최했다. (농협 제공)
농협(회장 강호동)이 지난 22일 서울 중구 농협중앙회 본관에서 「2025년 농협벼전국협의회 정기총회」를 개최했다. (농협 제공)

총회에서는 2024년 사업결산 심의, 2025년 사업계획 의결, 양곡 수급 및 가격 동향 보고, 주요 현안 토론 등이 이어졌다.

특히 최근 쌀값 상승세 둔화에 대응해 선제적 쌀 수급 조절, 쌀값 안정 기반 강화, 정부의 벼 건조저장시설(DSC) 및 양곡창고 현대화 지원 방안 등이 집중 논의됐다. 참석자들은 적정 생산을 통한 가격 지지와 안정적인 유통체계 구축에 뜻을 모았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쌀 소비가 줄어드는 상황에서 공급 과잉이 이어지면 가격 하락과 농가 소득 불안정이 심화될 수 있다”라며 “벼 재배면적 감축을 위한 부분 휴경 등 대책에 농협과 농업인의 적극적인 협조가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

강호동 농협중앙회장은 “벼 재배 환경과 유통 구조가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만큼, 저장·처리시설인 농협 DSC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라며 “농협은 앞으로도 쌀 유통 전반의 책임을 다하고, 아침밥 먹기 운동 등 쌀 소비 촉진에도 역량을 집중하겠다”라고 밝혔다.

한편, 정부는 현재 연간 20만톤 이상 초과 생산되고 있는 쌀의 수급 안정을 위해 사전적인 재배면적 감축 정책을 적극 추진 중이다.

저작권자 © H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