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news 하이뉴스] 모바일 게임을 활용한 디지털 치료가 자폐스펙트럼장애(ASD)와 사회적의사소통장애(SCD)를 가진 청소년의 사회성 향상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유숙 삼성서울병원, 유재현 서울성모병원, 최태영 대구가톨릭대의료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공동 연구팀은 최근 일본정신신경학회 학술지 Psychiatry and Clinical Neurosciences에 이 같은 내용을 발표했다.

(왼쪽부터) 정유숙 삼성서울병원, 유재현 서울성모병원, 최태영 대구가톨릭대의료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삼성서울병원 제공)
(왼쪽부터) 정유숙 삼성서울병원, 유재현 서울성모병원, 최태영 대구가톨릭대의료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삼성서울병원 제공)
연구팀은 2023년 8월부터 11월까지 전국 3개 병원에서 10~18세 청소년 38명을 모집해 기존 치료군과 모바일 게임 병행 치료군으로 나눠 비교했다. 사용된 디지털 치료 게임은 뉴다이브가 개발한 ‘NDTx-01’로, 식약처에서 혁신의료기기로 지정된 바 있다.

게임은 학교생활 속 다양한 상황을 시뮬레이션하며 사회적 의사소통 훈련을 유도하는 방식이다. 연구 결과, 6주 후 게임 병행 치료군은 기존 치료군보다 사회성, 일상생활 능력, 의사소통 등 여러 영역에서 더 큰 개선을 보였다.

적응행동척도를 기준으로 평가했을 때 모바일 게임을 병행하여 치료 시 자폐스펙트럼장애/사회적의사소통장애 청소년의 일상생활 등 개선 효과가 뚜렷했다. (삼성서울병원 제공)
적응행동척도를 기준으로 평가했을 때 모바일 게임을 병행하여 치료 시 자폐스펙트럼장애/사회적의사소통장애 청소년의 일상생활 등 개선 효과가 뚜렷했다. (삼성서울병원 제공)
특히 사회성은 기존 치료군이 0.42점 향상된 데 비해, 게임 병행 치료군은 6.05점 상승했다. 일상생활 기능도 게임군은 4.16점 증가한 반면, 기존 치료군은 오히려 0.74점 감소했다. 자폐의 주요 증상인 반복 행동과 과잉 관심도 게임군에서 더 큰 감소폭을 보였다.

정유숙 교수는 “스마트폰 기반 치료는 가정에서도 의료진의 지도하에 가능해 접근성이 높고, 게임의 몰입감을 통해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다”며 “지속적 대면 치료가 어려운 환경에서도 대안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는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산업진흥원과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저작권자 © H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