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news 하이뉴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아동·청소년의 우울증과 불안장애가 빠르게 늘며 사회적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장기화된 원격수업, 또래와의 단절, 가정 내 돌봄 공백 등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하며 정신건강이 크게 흔들리고 있다. 특히 맞벌이 가정은 정서적·물리적 돌봄의 공백으로 방임 위험과 안전사고 가능성까지 겹쳐 더욱 취약한 상황이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정신건강 질환으로 의원급 의료기관을 찾은 18세 미만 환자는 2024년 11~1월 기준 27만625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2020년 13만3235명에서 두 배 넘게 증가한 수치다. 연령대별로는 초등학생에 해당하는 7~12세 아동이 가장 큰 폭으로 증가했다. 같은 기간 남아 환자는 3만3800명에서 7만6159명으로, 여아 환자는 1만2260명에서 2만9165명으로 각각 2.3배, 2.4배 늘었다.

전문가들은 팬데믹 장기화로 인한 사회적 고립과 경제적 불안, 학업 스트레스, 결손가정 증가 등이 아동 우울증을 악화시키는 요인으로 보고 있다. 특히 최근 소아비만 비율이 2018년 3.4%에서 2023년 14.3%로 급격히 늘어난 것도 정신건강과 연관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오고 있다.

김상엽 온병원 행동발달증진센터 센터장은 “아동 우울증은 성인과 달리 복통, 두통, 짜증, 공격성과 같은 신체적·행동적 증상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아 조기 발견이 쉽지 않다”며 “적극적인 개입이 늦어질 경우 성인기까지 증상이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코로나 이후 아동 우울증이 급증하면서 조기 발견과 적극적인 개입이 중요해졌다. (클립아트코리아)
코로나 이후 아동 우울증이 급증하면서 조기 발견과 적극적인 개입이 중요해졌다. (클립아트코리아)
우울증 조기진단 도구로는 PHQ-9 설문이 활용된다. 9개 문항으로 지난 2주간의 증상을 체크하며, 총점이 5점 이상이면 의료진 상담이 권장된다. 주로 관찰할 증상은 흥미 상실, 수면 변화, 피로감, 자책감, 집중력 저하, 자해나 죽음에 대한 언급 등이다. 이 외에도 복통·소화불량 등 원인 없는 통증, 무표정, 무기력, 친구 관계 단절 등도 주의 깊게 살펴야 한다.

우울증을 예방하려면 아이와의 정서적 교감을 통해 자존감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감정을 존중하고 대화를 유도하며, 학업 스트레스를 줄이고 운동이나 취미 활동을 통해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필요하다. 치료는 항우울제 투약과 심리치료를 병행하며, 약물 효과는 2~3주 뒤 나타나고 최소 6개월 이상 지속하는 것이 권장된다.

이수진 온병원 행동발달증진센터 과장은 “아동 우울증은 사회·가정 환경과 생물학적 요인이 함께 작용한다”며 “성인보다 표현 방식이 달라 쉽게 놓칠 수 있는 만큼 주변의 세심한 관찰과 정서적 지지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H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