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news 하이뉴스] 피부에 갑자기 뭔가 만져지면 누구나 한 번쯤은 ‘뾰루지인가?’ 하는 생각을 해본다. 실제로 처음에는 그럴 수 있다. 하지만 며칠이 지나도 멍울이 사라지지 않고 오히려 점점 또렷하게 만져질 정도로 커진다면 얘기가 달라진다. 통증도 없고 겉으로 티도 많이 나지 않다 보니 “그냥 두면 없어지겠지” 하고 넘기게 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크기가 커지거나 붓는 듯한 변화가 보인다면 단순한 피부 트러블이 아닌 ‘양성종양’을 의심해볼 필요가 있다.

양성종양은 피부 아래에 지방 성분이나 각질, 노폐물이 쌓이면서 형성되는 구조물로 보통 주머니 모양으로 피부 안쪽에 자리 잡는다. 몸에 해롭거나 위험한 형태는 아니지만 무증상이라고 해서 방치해도 된다는 뜻은 아니다. 대표적으로 많이 생기는 부위는 얼굴, 목, 두피, 등처럼 피지선이 발달한 곳인데 이런 부위는 외부 자극도 많고 피지 분비도 활발해 작은 자극만으로도 쉽게 낭종이 생길 수 있다.

이상민 부산 굳건병원 원장(성형외과 전문의)
이상민 부산 굳건병원 원장(성형외과 전문의)
양성종양은 대부분 처음 발견될 때 크기가 작고 특별한 통증이 없어 주의를 기울이지 않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크기가 서서히 커지거나 염증이 동반되면 통증과 불편함이 생기고 반복될 경우 흉터로 남을 수 있어 초기 확인이 중요하다.

특히 문제는 병원을 찾지 않고 스스로 짜내거나 자극을 주는 경우다. 멍울이 눈에 띄게 불룩해지거나 붉어지고 통증이 생기면 이미 내부에 염증이 진행되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이 상태에서는 자가 처치로 해결이 어렵고 심하면 절개나 배농 등의 조치가 필요해질 수 있다. 더불어 주변 조직까지 염증이 번지면 흉터가 깊고 넓게 남을 수 있어 회복 기간도 길어질 수밖에 없다.

양성종양은 악성처럼 전이되거나 생명을 위협하는 형태는 아니지만 그렇다고 해서 방심할 수 있는 대상도 아니다. 무엇보다 얼굴이나 두피처럼 노출이 많은 부위에 생기면 외관상 스트레스가 크고 증상이 반복되면 일상생활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게다가 크기가 작더라도 자주 만져지는 경우라면 그 부위의 구조적 특성상 반복적으로 생길 가능성이 높아진다.

통증이 없어도 몸에 생긴 멍울이 쉽게 사라지지 않는다면 그 자체로 피부 안쪽에 변화가 일어났다는 신호일 수 있다. 염증이 생기기 전, 상태가 비교적 안정된 시점에 진료를 받아보는 것이 치료 후 회복을 빠르게 하고 흉터도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

일상에서 자주 만져보지 않으면 그냥 지나칠 수 있는 멍울 하나가 시간이 지나며 갑자기 크기가 커지거나 불편함을 유발하는 경우는 생각보다 흔하다. 특히 양성종양은 조용히, 천천히 자리를 잡는 경우가 많아 초기에는 그 존재조차 인식하지 못하는 일이 많다. 하지만 작다고 무시하면 나중에는 더 큰 불편으로 돌아올 수 있다. 낯선 멍울이 느껴진다면 우선 한 번쯤 확인해보는 게 좋다. 불안보다 확실함이 방치보다 확인이 필요한 순간이다.

(글 : 이상민 부산 굳건병원 원장(성형외과 전문의))

저작권자 © H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