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 수술은 오철규 비뇨의학과 교수와 정원범 대장항문외과 교수의 협진으로 진행됐으며, 환자는 수술 후 특별한 합병증 없이 회복해 퇴원했다.
환자는 우측 요관 약 15cm 구간에 협착이 있어 일반적인 자가 조직 이용이 어려운 상황이었다. 이에 의료진은 협착 부위와 전반적인 신장 기능을 고려해 소장의 일부를 절제한 뒤 요관과 연결하는 방식의 재건술을 선택했다.
‘소장요관 문합술’은 요관의 손상이나 협착이 광범위할 경우 시행되는 수술로, 신장 기능 보존이 가능한 치료법 중 하나다. 이 수술은 통상 개복으로 진행되지만, 이번에는 로봇수술을 통해 절개 범위를 줄이고 회복을 돕는 방식으로 시행됐다.
로봇수술에는 다빈치 시스템이 사용됐으며, 형광 영상(Firefly) 기능을 활용해 수술 중 혈류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오철규 교수는 “로봇수술의 장점을 기반으로 협진을 통해 수술을 안정적으로 마칠 수 있었다”며, “향후에도 적절한 치료 선택을 위해 진료과 간 협업을 이어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해운대백병원은 현재 다양한 로봇수술을 시행 중이며, 단일공 로봇수술 시스템도 도입해 활용하고 있다.
임혜정 하이뉴스(Hinews) 기자
press@hi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