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3차 IDMC 회의에서는 89명의 등록 환자를 포함한 중간 안전성 데이터가 심층 검토됐으며, 심각한 이상 소견은 발견되지 않았다. 이에 따라 대웅제약은 계획대로 임상 2상을 계속 진행 중이며, 현재까지 102명 목표 중 94명에 대한 환자 모집을 완료했다.
특발성 폐섬유증은 폐섬유화로 호흡 기능이 점차 저하되는 희귀질환으로, 기존 치료제는 질환의 진행을 늦추는 수준에 그쳐 근본적인 치료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이에 따라 대웅제약은 새로운 기전의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다. 베르시포로신은 콜라겐 합성의 핵심 효소인 Prolyl-tRNA Synthetase(PRS)를 선택적으로 억제해 섬유화의 근본 원인을 차단하는 방식으로 작용한다.

오는 30일, 대한결핵및호흡기학회 국제학술대회(KATRD 2025)에서는 서울아산병원 송진우 교수가 중간 특성 분석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이 발표에서는 등록 환자들의 인구학적 특성 및 병용 치료 비율 등이 공개된다.
박성수 대웅제약 대표는 “이번 3차 IDMC 결과는 베르시포로신의 안전성을 재확인한 중요한 이정표”라며, “임상 2상을 계속 진행해 특발성 폐섬유증 환자들에게 새로운 치료 기회를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김국주 하이뉴스(Hinews) 기자
press@hinew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