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news 하이뉴스] 흡연이 비알코올성 지방간(NAFLD) 발생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국내 연구를 통해 밝혀졌다. 특히 10년 이상 금연할 경우 지방간 위험이 크게 낮아지는 점도 확인돼 금연의 중요성이 다시금 강조됐다.

조현 순천향대학교 서울병원 가정의학과 교수팀은 2018년부터 2019년까지 순천향대학교 천안병원 건강검진센터에서 검진을 받은 성인 남성 12,241명의 데이터를 분석해 ‘흡연 상태와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과의 연관성’을 국제 학술지 ‘PLoS One’에 보고했다.

연구 결과, 과거에 흡연했던 사람은 비흡연자에 비해 비알코올성 지방간 발생 위험이 약 20% 높았다. 특히 담배 소비량이 많을수록 위험도 증가하는 경향이 뚜렷했다. 예를 들어, 하루 한 갑씩 10년 이상 꾸준히 흡연한 경우 비흡연자 대비 지방간 발생 위험이 약 29% 높았다.

흡연은 비알코올성 지방간 위험을 높이고, 10년 이상 금연 시 위험이 크게 줄어든다. (클립아트코리아)
흡연은 비알코올성 지방간 위험을 높이고, 10년 이상 금연 시 위험이 크게 줄어든다. (클립아트코리아)
반면, 금연 기간이 길어질수록 지방간 위험은 의미 있게 감소했다. 10년 이상 금연을 유지한 이들은 10년 미만 금연자보다 비알코올성 지방간 위험이 약 33% 낮아졌다.

조 교수는 “이번 연구는 흡연이 간 건강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명확히 보여준다”며 “특히 장기간 금연은 간질환 예방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이어 “흡연자들이 금연을 결심하는 데 이번 연구 결과가 동기부여가 되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조현 순천향대학교 서울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조현 순천향대학교 서울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비알코올성 지방간은 과도한 음주 없이 간에 지방이 쌓이는 질환으로, 비만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치료하지 않으면 간경변이나 간암으로 진행될 위험이 있어 조기 발견과 관리가 중요하다.

이번 연구는 흡연이 지방간 위험을 높이는 기전을 밝히고, 금연을 통한 예방 가능성을 구체적으로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저작권자 © H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