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반은 망막 중심부에 위치하며, 시세포가 밀집해 빛과 색을 정확하게 받아들이는 역할을 한다. 이 부위가 손상되면 중심 시야가 흐려지거나 변형되고, 심하면 중심 시야가 완전히 가려질 수 있다. 고도근시, 흡연, 심혈관 질환, 가족력 등이 있는 경우 비교적 젊은 나이에도 발병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황반변성의 초기 증상으로는 ‘변시증’과 ‘중심 암점’이 있다. 변시증은 직선이 굽어 보이거나 사물이 찌그러져 보이는 현상이며, 중심 암점은 글자나 사물의 중심부가 가려지는 듯한 증상을 말한다. 이러한 변화는 한쪽 눈에서 먼저 나타나는 경우가 많아, 반대쪽 눈이 정상시력을 유지하며 이상을 감지하기 어렵다. 따라서 40대 이상이라면 정기적인 안저 검사가 권장된다.
치료 방법은 황반변성의 형태와 진행 정도에 따라 달라진다. 습성 황반변성은 주로 비정상 신생 혈관의 성장을 억제하는 안구 내 주사 치료가 적용된다. 항체 주사를 정기적으로 주입해 혈관 누출을 막고 시력 손실을 늦추는 것이 핵심이다. 건성 황반변성은 특별한 치료 없이 경과 관찰을 진행하지만, 후기에는 습성으로 진행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정기 검진이 필요하다. 최근에는 주사 횟수를 줄이고 효능을 높인 신약도 개발되며, 환자 맞춤형 치료 접근이 가능해지고 있다.
황반변성은 조기 발견 시 치료 효과가 높고, 실명 위험을 상당히 줄일 수 있다. 특히 고도근시, 가족력, 심혈관 질환 등 위험 요인이 있다면 40대 이후부터 정기적인 안저 검사를 통해 망막 상태를 점검하고, 자외선 차단과 금연 등 생활 습관 관리도 병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단순히 시력이 떨어진 것으로 치부하기 쉽지만, 중심 시야의 변화는 실명의 전조일 수 있다. 눈은 손상되면 회복이 어렵기 때문에, 나이와 관계없이 정기적인 안과 검진을 통해 시력을 보호하고 질환을 조기에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글 : 고석진 밝은신안과 원장)
김국주 하이뉴스(Hinews) 기자
press@hi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