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news 하이뉴스]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은 2008년부터 2021년까지 30세 미만 당뇨병 환자의 임상·역학 특성을 분석한 결과를 국제학술지에 발표했다.

연구에 따르면 2형 당뇨병 발생률은 인구 10만 명당 27.6명에서 60.5명으로 2.2배, 유병률은 73.3명에서 270.4명으로 4배가량 급증했다. 1형 당뇨병 발생률은 큰 변화가 없었지만, 유병률은 21.8명에서 46.4명으로 두 배 이상 늘었다.

성별 차이도 뚜렷했다. 1형 당뇨병은 여성 환자가 26% 더 많았고, 2형은 남성이 17% 더 많았다. 연령대별로는 1형 당뇨병이 영유아기(0~5세)에서, 2형은 청소년기(13~18세)에서 가장 크게 증가했다.

30세 미만 당뇨병 환자가 지난 13년간 급증했으며, 특히 저소득층에서 더 많이 발생했다. (클립아트코리아)
30세 미만 당뇨병 환자가 지난 13년간 급증했으며, 특히 저소득층에서 더 많이 발생했다. (클립아트코리아)
특히 사회경제적 취약계층에서 당뇨병 발생률이 두드러졌다. 저소득층은 중·고소득층 대비 1형 당뇨병 환자가 2.9배, 2형 당뇨병 환자가 3.7배 더 많았다.

박현영 국립보건연구원장은 “젊은층 당뇨병 증가가 심각한 상황”이라며 “사회경제적 취약계층 건강 격차 해소를 위한 국가 차원의 관리가 절실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H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