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부터 2024년까지 이대서울병원 국가검진센터에서 흉부 X-ray와 골밀도 검사(DXA)를 받은 성인 80명을 대상으로 AI 모델(PROS® CXR: OSTEO)을 활용해 분석한 결과, AI의 진단 정확도(AUC)는 0.93으로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기존 골다공증 진단에 사용되는 DXA 검사는 비용이 높고 방사선 노출 우려가 있어 표준 검사로 활용하는 데 제한이 있었다.
이번 연구는 비용 효율성과 접근성이 높은 흉부 X-ray를 통해 조기에 골다공증 환자를 선별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이를 통해 적절한 치료와 예방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Journal of Thoracic Disease’ 최신호에 ‘임상 코호트에서 흉부 X-ray 기반 딥러닝 골다공증 진단 모델 성능 평가’라는 제목으로 게재됐다.
임혜정 하이뉴스(Hinews) 기자
press@hi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