샌들이나 슬리퍼는 얇고 딱딱한 재질로 된 것이 많아 충격을 충분히 흡수하지 못하고 발에 무리를 줄 수 있다. 레인부츠의 경우 발목을 제대로 잡아주지 않아 뒤꿈치부터 발 앞쪽까지 순차적으로 닿는 정상적인 보행이 이뤄지기 어렵다. 또한 비오는 날 젖은 땅을 걸을 때 미끄러지기 쉬운 소재인 레인부츠 밑창으로 인해 발목을 삐끗할 위험이 크다. 때문에 편하다는 이유로 이러한 신발들을 장시간 착용하면 발바닥이나 발목에 통증이 생길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족저근막염 진단을 받았다면 약물치료, 물리치료 등을 통해 치료가 진행된다. 기구를 통해 손상 부위에 강한 파동을 연속적으로 전달하는 충격을 줘 조직을 재생하는 체외충격파는 족저근막염 치료에 효과적이다. 평소 족부 스트레칭을 꾸준히 해주고 오래 걷거나 장시간 서있는 것은 피해 다시 족저근막염이 재발되지 않게 하는 것도 중요하다.
통증이 없는 경우가 많아 방치하기 쉬운 족부질환도 있다. 바로 무지외반증이다. 엄지발가락 뿌리 뼈가 커지고 튀어나오면서 엄지발가락이 두 번째 발가락쪽으로 휘어지는 질환인 무지외반증은 선천적으로 발생하기도 하지만 발 건강을 해치는 신발을 오래 착용할 경우에도 나타난다. 발을 조이거나 굽이 높고 딱딱한 신발을 오래 착용할 경우 과도한 압력과 마찰로 뼈가 자라 발생한다.
통증이 없다고 적극적으로 치료하지 않으면 변형이 점점 심해져 다른 족부질환까지 유발할 수 있다. 무지외반증과 함께 나타나기 쉬운 족부질환으로는 발가락 첫 번째 마디가 비정상적으로 굽어지는 망치족변형, 새끼발가락쪽 뼈가 튀어나오는 소건막류, 발등을 지지하는 가늘고 긴 뼈인 중족골이 과한 압력을 받아 발바닥 앞쪽 통증이 나타나는 중족골통 등이 있다. 무지외반증으로 인해 발이 변형되고 통증이 생겨 정상적인 보행에 지장을 줄 경우 몸의 균형이 흐트러져 발목, 무릎, 골반 등 다른 관절건강에도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
무지외반증 초기인 경우에는 보조기구를 이용해 변형을 지연할 수 있다. 하지만 보행이 불안정하거나 일상생활에 불편이 큰 경우 수술치료를 시행할 수 있다. 뼈가 변형된 질환의 특성상 수술 없이 교정은 기대하기 어렵다. 수술치료는 스카프절골술로 시행되는데 뼈를 절개할 때 ‘Z’자로 절골 면을 넓게 해 안정성이 높고 수술 다음날 바로 특수제작 된 샌들을 착용한 보행이 가능할 정도로 회복이 빠른 편이다. 단, 수술 후에도 발볼이 넉넉하고 편한 신발을 착용해야 하며 적절한 보조기구 사용 및 꾸준한 재활스트레칭을 진행해 재발을 막는 것이 중요하다.
(글 : 안형권 바른본병원 병원장(정형외과 전문의))
임혜정 기자
press@hi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