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영양소 섭취 기준에 따르면 총 당류 섭취는 전체 에너지 섭취량의 20% 미만, 첨가당은 10% 미만으로 제한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이번 조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식품섭취조사(24시간 회상조사)를 바탕으로 산출했으며, 매년 약 1만 명을 대상으로 이동검진차량에서 진행된다.

음료 종류별로는 무가당 커피(아메리카노 등)가 112.1g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탄산음료(48.9g)가 뒤를 이었다. 최근 5년간 무가당 커피와 저칼로리 탄산음료 섭취는 늘었지만, 당이 포함된 탄산음료 섭취는 감소했다.
아동과 청소년은 주로 당이 포함된 가당음료를 선호했다. 아동은 과일채소 음료와 탄산음료, 청소년은 탄산음료 섭취가 가장 높았다. 성인은 무가당 커피와 저칼로리 탄산음료 섭취가 늘었으나, 19~39세 청년층은 여전히 당이 들어간 탄산음료도 많이 마셨다.
음료 섭취량은 증가했지만, 음료로 인한 당 섭취량은 약 1g 감소했다. 무가당 커피와 저칼로리 탄산음료 선택이 늘면서 당 섭취가 줄어든 결과다. 당 섭취가 가장 높은 연령층은 가당음료를 많이 마시는 10대였고, 20대와 30대도 상대적으로 높았다.
음료를 마시는 사람은 마시지 않는 사람보다 당 과잉 섭취 위험이 컸다. 특히 아동·청소년·20대의 가당음료 섭취자는 당 과잉 섭취 비율이 미섭취자보다 2배 이상 높았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아동과 청소년의 가당음료 섭취가 비만과 성인기 만성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어, 정부와 학교, 가정에서 적극적으로 가당음료 섭취를 줄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성인의 저칼로리, 저당 음료 섭취 증가는 긍정적이지만, 20~30대는 여전히 탄산음료를 많이 마시고 있어 수분 보충은 음료 대신 물로 충분히 할 것을 권고한다”고 덧붙였다.
질병관리청은 앞으로도 만성질환 예방을 위해 위험 요인을 지속적으로 파악하고, 정책 수립에 활용할 국민건강통계플러스를 계속 발간할 계획이다.
자세한 음료 섭취 현황은 질병관리청 국민건강영양조사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임혜정 하이뉴스(Hinews) 기자
press@hi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