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테라파워 전략적 파트너십 확대, 글로벌 시장 선도 논의

SK그룹은 오늘(22일) 최 회장이 전날 저녁 서울 종로구 SK서린빌딩에서 게이츠 이사장과 만찬 회동을 가졌다고 밝혔다. 이 자리에는 안재용 SK바이오사이언스 사장, 김무환 SK이노베이션 에너지솔루션사업단장, 최윤정 SK바이오팜 사업개발본부장, 크리스 르베크 테라파워 CEO 등이 함께했다.
만찬에서는 SK가 2대 주주로 참여한 미국 테라파워의 SMR 기술 개발 및 상용화 전략과, 10년 넘게 이어져 온 백신 분야 협력의 확장 방안이 논의됐다. 게이츠 이사장은 2008년 자신이 설립한 테라파워의 이사회 의장을 맡고 있다.
최 회장은 “한국과 SK가 테라파워 SMR 상용화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믿는다”며 “SMR 안전성과 효율성, 친환경성을 바탕으로 시장 수용성을 높이는 노력을 함께 해 나가자”고 말했다.
게이츠 이사장은 “차세대 SMR의 빠른 실증과 확산을 위해 한국 정부의 규제 체계와 공급망 구축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며 “이 경우 SK와 테라파워가 글로벌 시장을 선도할 수 있을 것”이라고 화답했다.
양측은 이날 오전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도 연쇄 회동을 이어갔다. 이 자리에는 SK의 이형희 수펙스추구협의회 커뮤니케이션위원장과 김무환 단장이, 게이츠 측에서는 게이츠 이사장과 르베크 CEO가 참석했다. 또한 한국형 SMR 생태계 구축 논의를 위해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안세진 원전산업정책국장도 동참했다.
이날 미팅에서 SK와 테라파워는 SMR 투자와 기술 개발 현황, 한국수력원자력과 공동 진행 중인 상업용 원자로 개발 경과 등을 공유했다. 테라파워가 개발 중인 나트륨냉각고속로(SFR) 기반 차세대 SMR은 상압 운전, 무전원 공기냉각 기능으로 안전성이 높으며, 열에너지 저장 장치와 결합돼 재생에너지와의 호환성이 큰 것이 특징이다.
SK는 2040년 수백조 원 규모로 성장할 글로벌 SMR 시장 선점을 위해 민간 참여 활성화를 위한 인센티브, 정부 차원의 글로벌 파트너십 강화, 선진제도 도입 등을 산업부에 요청했다.
앞서 SK㈜와 SK이노베이션은 2022년 8월 테라파워에 2억 5000만 달러(약 3,495억 원)를 공동 투자해 2대 주주가 됐고, 이후 2023년 3월 한수원·테라파워와 업무협약을 체결해 차세대 SMR 개발 및 사업화를 추진해왔다. 테라파워는 지난해 미국 와이오밍주에서 세계 최초로 상업용 첨단 SMR 플랜트 건설에 착수했으며, 2030년 완공을 목표로 미국 정부의 지원 아래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김무환 단장은 “SMR은 탄소 감축과 에너지 안보를 동시에 실현할 수 있는 혁신 기술”이라며 “SK이노베이션은 테라파워와의 전략적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국내 SMR 생태계 구축과 글로벌 시장 진출을 선도하겠다”고 강조했다.
김국주 하이뉴스(Hinews) 기자
press@hi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