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실무자 대상 역량강화 교육 개최…정책 모델 구체화 기대

[Hinews 하이뉴스] 정읍시는 고령장애인을 위한 평생학습 정책 수립을 위해 현장 관계자들과 함께 실질적인 실행 전략을 모색하는 교육을 개최했다.

정읍시, 고령장애인 평생학습 정책 모색… 현장 관계자 역량 강화 (정읍시 제공)
정읍시, 고령장애인 평생학습 정책 모색… 현장 관계자 역량 강화 (정읍시 제공)

정읍시장애인종합복지관은 지난 16일 정읍시 평생학습관에서 관련 실무자 45명을 대상으로 ‘고령장애인의 학습권 보장을 위한 평생교육’을 주제로 한 제3차 역량강화 교육을 진행했다.

이번 교육은 광주인재평생교육진흥원이 추진한 고령 특화 평생학습 지원사업의 우수 사례를 중심으로 구성됐다. 특히 고령장애인을 위한 정책의 필요성과 향후 도입 방향에 대해 다양한 논의가 이뤄졌다.

강의를 맡은 고유선 선임평생교육사는 광주광역시 5개 자치구에서 진행 중인 고령 특화사업의 기획부터 실행, 평가에 이르는 전 과정을 소개하며, 정읍시에 적용 가능한 정책 모델과 실행 가능성에 대해서도 구체적인 제안을 제시했다.

교육에 참여한 한 관계자는 “현장의 다양한 목소리를 직접 나누고, 다른 지역의 사례를 통해 실질적인 해법을 고민할 수 있어 의미 있는 시간이었다”며 “정읍시에서도 고령장애인을 위한 학습권이 더 폭넓게 보장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정읍시장애인종합복지관 측은 이번 교육이 단순한 사례 공유를 넘어, 정읍시 장애인 평생학습 현장에 적용 가능한 전략을 구체화하는 계기가 됐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향후 지속적인 역량강화와 지역 맞춤형 정책을 통해 학습 사각지대를 줄여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최근 고령장애인 인구가 증가하면서 디지털 소외, 사회적 고립 등 복합적인 문제가 함께 대두되고 있으며, 정읍시는 오는 2026년까지 유관기관과 협력해 고령장애인 특화 평생학습 프로그램을 단계적으로 확대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논의를 이어갈 방침이다.

저작권자 © H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