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news 하이뉴스] 연일 이어지는 폭염과 열대야, 예측 어려운 기상 변화는 건강에 큰 부담을 준다. 특히 고혈압·당뇨병·심장질환·신장질환 등 만성질환을 가진 사람들에게 여름은 더 위험한 계절이다. 기온이 오르면 체온 조절이 어려워지고, 땀이 많이 나면서 체내 수분이 빠르게 빠져나가 혈압과 혈당이 급변하거나 탈수로 이어지기 쉽다.

이해리 에이치플러스 양지병원 내분비내과 전문의는 “여름철 고온 환경은 혈관 건강에 영향을 크게 미친다”며 “기온이 1도 오를 때마다 심장이 분당 내보내는 혈액량이 3리터 이상 늘어난다. 심장이 그만큼 더 많이 일하게 되며, 만성질환자에겐 큰 부담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여름철에는 당뇨, 고혈압, 신장질환 등 만성질환자의 합병증 위험이 크게 높아져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클립아트코리아)
여름철에는 당뇨, 고혈압, 신장질환 등 만성질환자의 합병증 위험이 크게 높아져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클립아트코리아)
◇당뇨·고혈압·신장질환... 여름엔 더 위험한 이유

특히 당뇨병 환자는 수분 부족 시 혈액이 농축돼 혈당이 갑자기 오르거나, 식사를 거르면 저혈당 쇼크로 이어질 수 있다. 더운 날씨엔 식욕이 떨어져 식사 시간을 놓치기 쉬워 더욱 주의해야 한다. 또 자율신경계 합병증이 있는 경우 체온 조절 능력이 떨어져 열사병이나 열탈진에 쉽게 노출될 수 있다.

고혈압 환자는 더위에 혈관이 반복적으로 수축·이완하며 혈압이 급격히 오르내리는 현상을 겪을 수 있다. 혈관 탄력이 낮은 고령층일수록 심뇌혈관질환 위험이 커지고, 혈액이 끈적해지면 혈전(피떡)이 생겨 뇌경색 등의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해리 에이치플러스 양지병원 내분비내과 전문의
이해리 에이치플러스 양지병원 내분비내과 전문의
신장질환자는 반대로 수분을 한꺼번에 많이 마실 경우 저나트륨혈증이나 부종을 유발해 어지럼증, 두통, 현기증을 겪을 수 있다. 저혈압 환자 역시 무더위에 혈압이 더 떨어지면 기력 저하, 어지럼증, 낙상 사고 등이 생기기 쉬워 주의가 필요하다.

◇건강 지키는 여름 생활수칙

무더위 속 건강을 지키기 위해선 예방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 갈증을 느끼기 전에 미리 수분을 자주 섭취하는 것이 기본이다. 하루 2리터 정도 물을 천천히, 나눠 마시는 것이 좋다. 카페인이나 알코올은 이뇨작용을 유발하므로 피하고, 이온음료는 당분이 높기 때문에 꼭 필요한 경우에만 적절히 섭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생수를 마시기 힘들다면 오이, 민트, 레몬 등을 넣은 홈메이드 워터를 활용하는 것도 수분 보충에 도움이 된다.

야외 활동은 오전 11시부터 오후 4시까지는 가급적 피해야 한다. 외출 시엔 챙이 넓은 모자, 양산, 밝은색 통기성 옷을 착용하고, 생수나 이온음료를 휴대하는 것이 좋다. 더위에 지쳐 돌아온 후 찬물 샤워는 순간적인 혈관 수축으로 혈압을 급격히 올릴 수 있어 미지근한 물로 샤워하는 것이 안전하다.

만성질환에게 위험한 폭염 (에이치플러스 양지병원 제공)
만성질환에게 위험한 폭염 (에이치플러스 양지병원 제공)
에어컨은 실내외 온도 차가 크지 않도록 적정 온도인 26도 전후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갑작스러운 냉방은 냉방병을 유발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운동은 무리하지 말고 아침이나 저녁에 가벼운 산책이나 스트레칭 위주로 하며, 지나친 땀 배출은 피하는 것이 좋다.

이해리 전문의는 “가슴 통증이나 갑작스러운 어지럼증, 시야 흐림, 균형 상실, 심한 두통 등이 나타나면 즉시 응급실로 가야 한다”며 “만성질환자는 기온 변화에 민감하기 때문에 평소보다 더 세심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H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