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news 하이뉴스] 2023년 한 해 동안 전국에서 407건의 감전 사고가 발생해 21명이 숨지고 386명이 부상했다. 특히 6월부터 8월 사이, 여름철에만 전체 감전 사고의 약 37%인 151건이 집중돼 여름철 감전 위험이 다른 계절보다 훨씬 높다는 분석이 나왔다.

감전이란 외부 전기가 인체에 접촉해 전류가 몸을 통과하는 현상을 뜻한다. 사람 몸은 60% 이상이 수분으로 구성돼 있고, 이 수분 속 전해질들은 전기를 쉽게 통하게 하는 전도체 역할을 한다. 따라서 전기가 인체를 통과하면 조직이 손상되고 화상이 생기며, 심장과 신경, 근육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전류가 흐르면 근육 경직, 심장 박동 이상, 호흡 곤란, 의식 상실, 전기 화상 등 다양한 증상이 나타난다. 고전류나 장시간 노출 시에는 심정지나 사망에 이를 수 있어 감전 사고는 응급 상황이다. 즉시 체계적인 응급처치와 병원 진료가 필요하다.

습하고 더운 여름철에는 전기 감전 사고 위험이 크게 증가하므로 반드시 안전 수칙을 철저히 지켜야 한다. (클립아트코리아)
습하고 더운 여름철에는 전기 감전 사고 위험이 크게 증가하므로 반드시 안전 수칙을 철저히 지켜야 한다. (클립아트코리아)
일상에서는 가정 내 콘센트나 전기기기 접촉이 가장 흔한 감전 사고 원인이다. 손가락이나 금속 물체를 콘센트에 넣거나, 절연이 벗겨진 전선이나 파손된 기기를 만지는 행위는 매우 위험하다. 자주 쓰지 않는 콘센트엔 안전커버를 씌우고, 전선과 기기는 손상 시 즉시 교체하거나 수리해야 한다. 어린이가 있는 가정에서는 특히 덮개가 달린 콘센트를 설치해 아이 손이 닿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습기가 많은 욕실, 주방은 물론, 비 오는 날이나 습한 야외에서 전자기기를 사용하거나 충전하는 것도 위험하다. 습한 환경은 누전 가능성을 높여 전기 사고의 위험을 키우므로, 가급적 실내에서 안전하게 전자기기를 사용해야 한다.

누전차단기 설치와 정기 점검으로 전기 설비 상태를 꼼꼼히 확인하고, 충전 중인 기기와 전원 케이블도 자주 점검해 손상 부위는 바로 교체하거나 수리하는 게 필수다. 문어발식 콘센트 사용은 피하고, 전선 피복 상태를 꼼꼼히 살펴야 하며, 젖은 손으로 전자기기를 만지는 것도 절대 삼가야 한다.

고경완 대동병원 응급의학과 전문의
고경완 대동병원 응급의학과 전문의
고경완 대동병원 응급의학과 전문의는 “여름철 높은 습도와 장마, 폭우는 전기 설비 누전 위험을 크게 높인다”며 “에어컨, 선풍기 등 전자기기 사용이 늘면서 감전 사고도 증가하는 만큼 여름 휴가철 야외나 낯선 환경에서 전기 사용 시 각별히 조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감전 사고는 생명을 위협하는 긴급 상황이니, 전기 안전 수칙을 철저히 지키고 위험 상황에 대비하는 인식을 높이는 게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감전 사고가 발생하면 우선 전원을 차단해 2차 사고를 막아야 한다. 전원 차단이 어렵다면 절연 장갑이나 마른 나무 막대기 등 전기가 통하지 않는 도구를 사용해 환자를 분리해야 한다. 환자의 의식을 확인하고 즉시 119에 신고한다. 의식이 있으면 말을 걸어 의식을 유지하게 하고, 없으면 주변에 도움을 요청해 심폐소생술을 실시해야 한다.

겉으로는 손상이 없어 보여도 내부 장기가 손상됐을 가능성이 크므로 반드시 병원을 방문해 진단과 치료를 받아야 한다.

저작권자 © H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