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news 하이뉴스] 장마가 끝났어도 무릎 통증은 끝나지 않는다. 폭염과 갑작스러운 소나기가 이어지면서 높은 습도가 지속되면 관절염 환자의 고통은 오히려 더 커진다. 단순히 ‘날씨 탓’이라 넘길 일이 아니다.

이동녕 힘찬병원 정형외과 진료원장은 “여름은 관절에 불리한 계절이다. 오다리처럼 하중이 비정상적으로 실리는 무릎은 더 민감하게 반응한다”고 말했다.

◇기압 낮고 습도 높은 날, 관절이 욱신거리는 이유

기온이 오르고 습도가 높아지면 우리 몸의 체온 조절과 수분 배출 시스템이 느려진다. 관절 주변 근육이 뻣뻣해지고, 관절 안에서는 윤활액이 제 역할을 못 하게 되면서 마찰이 늘고 염증 반응이 시작된다. 여기에 낮은 기압까지 겹치면 통증은 배가된다.

특히 무릎 관절염을 앓고 있는 사람이라면 날씨 변화가 고스란히 통증으로 이어진다. 더 큰 문제는 오다리 같은 구조적 이상이 있는 경우. 하중이 무릎 안쪽에 쏠리면서 연골 마모와 염증이 빠르게 진행된다.

무더운 여름철과 높은 습도가 무릎 관절염 통증을 악화시키며, 특히 오다리 환자는 각별한 관리가 필요하다. (클립아트코리아)
무더운 여름철과 높은 습도가 무릎 관절염 통증을 악화시키며, 특히 오다리 환자는 각별한 관리가 필요하다. (클립아트코리아)
◇여름엔 움직임 줄고, 관절은 더 손상된다

덥다고 활동을 줄이면 관절 주변 근육이 약해진다. 그러면 관절이 체중이나 충격을 감당하지 못하고 손상되기 쉬워진다. 실내에 오래 있으면서 에어컨 바람에 노출되는 것도 관절엔 독이다. 관절 주변 근육이 갑자기 식으면 긴장도가 높아지고, 뻣뻣함과 통증이 심해진다.

실내외 온도차가 크거나 에어컨을 무릎에 직접 쐬는 일은 피해야 한다. 체온 변화 자체가 관절염을 악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오다리, 방치하면 관절염 악화 빨라진다

오다리는 단순히 다리 모양의 문제가 아니다. 허벅지와 종아리 뼈의 정렬이 틀어지면서 무릎 안쪽에 체중이 쏠리고, 연골이 집중적으로 닳는다. 연골이 마모되면 무릎 사이 간격이 좁아지고, 이는 다시 다리를 더 휘게 만든다. 이 악순환이 반복되면 관절염 진행 속도도 빨라진다.

오다리는 무릎뿐 아니라 골반, 고관절, 발목에도 영향을 미치며 전신 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다. 단순한 미용 문제가 아닌 병적인 상태로 봐야 한다.

오다리를 교정하려면 뼈의 각도를 조절해 다리 정렬을 바로잡는 절골술을 고려할 수 있다. 변형이 5도 이상이면 수술 대상이며, 관절염 1~3기 환자 중 70세 이하에게 주로 적용된다. 고령이거나 관절 손상이 심한 경우엔 인공관절 수술이 더 적합할 수 있다.

여름철 관절 통증 예방법 (힘찬병원 제공)
여름철 관절 통증 예방법 (힘찬병원 제공)
◇여름철 무릎 관리 팁

1. 에어컨 바람을 무릎에 직접 쏘이지 말 것

2. 실내외 온도차는 5도 이내로 유지

3. 스트레칭과 온찜질로 관절 긴장 완화

4. 걷기, 실내 자전거, 수영 등 관절에 부담 없는 운동 추천

5. 쪼그려 앉기, 다리 꼬기 등 무릎 하중 높은 자세는 피할 것

이 진료원장은 "무릎이 붓고 누를 때 열감과 통증이 느껴진다면 무조건 ‘날씨 탓’이라고 넘기지 말고 병원을 찾아야 한다"며 “무릎은 변화에 민감한 관절이다. 방치하면 손상은 금방 진행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H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