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운철 서울대병원 안과 교수는 “고도근시는 안구가 비정상적으로 길어지면서 망막과 황반에 치명적인 변화를 초래한다”며, “이는 마치 지나치게 부풀린 풍선 표면이 얇아져 터지기 쉬운 것과 같다”고 설명했다. 고도근시는 보통 안경 도수 -6디옵터 이상이거나 안구 길이가 26mm 이상일 때 진단된다.
◇대표적인 망막 병변과 치료법
고도근시로 인해 발생하는 주요 망막 문제는 근시성 신생혈관, 망막층간분리, 그리고 시신경 뒤틀림이다. 박 교수는 “안구가 늘어나면서 망막에 틈이 생기고, 그 사이로 새 혈관이 자라 출혈과 삼출물을 일으켜 시력을 떨어뜨린다”며, “신속한 진단과 VEGF 억제제 주사가 시력 보호에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망막 세포층이 분리되거나 황반 중심부에 구멍이 생기면 시력 저하가 심각해지고, 망막박리까지 진행될 수 있어 고난도 수술이 필요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시신경 뒤틀림은 안압 하강제를 통해 시야장애 예방에 노력한다.

박 교수는 “고도근시 환자는 시력 변화에 민감해야 하며, 최소 6개월마다 망막단층촬영(OCT)과 안저 검사를 받아야 한다”고 권고했다. 또한 “안구 길이 측정도 1년에 한 번은 꼭 받아야 하며, 갑작스러운 시력 저하나 중심 시야가 흐려지는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전문의 진료를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고도근시 황반병증은 주로 40대 이상에서 발생하며, 여성에게 더 빈번하다. 안구 확장 자체를 막는 방법은 아직 없지만, 합병증은 적절한 치료로 충분히 관리할 수 있다. 박 교수는 “정기 검진과 빠른 치료가 시력을 지키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라며 “망막 질환의 초기 증상인 비문증과 광시증도 간과하지 말고 반드시 검사받아야 한다”고 당부했다.

눈은 한 번 손상되면 회복이 어렵기에, 평소 정기적인 검진과 철저한 관리가 필수다. 박운철 교수의 조언처럼, 꾸준한 관심과 신속한 대응만이 고도근시 환자의 소중한 시력을 오래도록 지킬 수 있다.
임혜정 하이뉴스(Hinews) 기자
press@hi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