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news 하이뉴스] 매년 10월 19일은 ‘세계 유방암의 날’로, 예방과 조기 발견의 중요성을 알리는 날이다. 유방암은 국내 여성 암 중 가장 많이 발생하며, 2022년 국가암등록통계에 따르면 신규 여성 암 환자 중 약 22%가 유방암 환자였다. 특히 40대 이하 젊은 여성에서 증가세가 두드러진다.

유방암은 유관이나 소엽 조직에서 시작하는 악성 종양으로, 혈액과 림프를 통해 뼈, 폐, 간, 뇌 등으로 전이될 수 있어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한다. 전통적 위험 요인에는 호르몬, 유전, 식습관 등이 있지만, 최근 연구들은 잇몸병과 유방암 사이에도 밀접한 연관성이 있음을 보여준다.

국제학술지 Scientific Reports에 실린 연구 결과에 따르면, 잇몸염증(치은염) 지수가 높을수록 유방암 발생 위험이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증가했다. 연구진은 체질량지수, 가족력, 호르몬 요인 등을 고려한 뒤에도 잇몸염증이 독립적 위험 요인일 가능성을 제기했다.

잇몸병이 있는 여성은 유방암 발병 위험이 더 높아, 올바른 구강 관리가 중요하다. (사진 제공=클립아트코리아)
잇몸병이 있는 여성은 유방암 발병 위험이 더 높아, 올바른 구강 관리가 중요하다. (사진 제공=클립아트코리아)
◇잇몸 관리, 전신 건강의 열쇠


잇몸병은 단순한 구강 질환을 넘어 전신 건강에 영향을 미친다. 건강을 지키려면 올바른 양치법과 정기적인 구강 관리가 필수다. 잇몸과 치아 사이, 특히 치간과 잇몸선은 플라그가 잘 쌓여 염증이 발생하기 쉬운 부위다. 따라서 이 부위를 집중적으로 닦아야 한다.

대한구강보건협회가 권장하는 ‘표준잇몸양치법(변형 바스법)’은 칫솔을 연필처럼 가볍게 쥐고, 칫솔모를 45도 각도로 잇몸선에 대어 미세하게 진동시키면서 잇몸에서 치아 방향으로 쓸어내리는 방식이다. 이때 힘 조절이 매우 중요하다. 강한 힘으로 닦으면 오히려 잇몸이 손상될 수 있기 때문이다.

힘 조절이 어려운 사람에겐 음파전동칫솔이 효과적이다. 필립스 소닉케어 임상 연구에 따르면, 음파전동칫솔 사용자들은 치은염과 잇몸 출혈, 플라그가 수동 칫솔 사용자보다 훨씬 감소했다. 미세한 진동과 공기방울이 잇몸과 치간을 부드럽게 세정해 잇몸 손상을 줄여준다.

◇올바른 양치 습관이 유방암 예방에도 도움

잇몸병을 예방하려면 ‘0-1-2-3 양치습관’을 지키는 게 효과적이다. 즉, 식사 후 1분 이내에 양치를 시작하고, 최소 2분 이상 꼼꼼하게 닦으며, 하루 세 번 이상 양치하는 것이다. 양치 시 잇몸에 과도한 힘을 주지 않는 것도 중요하다.

박용덕 대한구강보건협회 회장은 “잇몸병은 전신 건강의 바로미터이자 조기 치료와 예방이 모두 중요하다”며 “특히 폐경기 이후 여성은 호르몬 변화로 건강이 취약해지므로 잇몸 건강을 지키는 것이 전신 건강에도 긍정적 영향을 준다”고 말했다.

결국, 구강 건강 관리가 유방암 위험을 낮추는 데도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정기적인 치과 방문과 올바른 양치 습관은 선택이 아닌 필수다.

저작권자 © H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