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news 하이뉴스] 연세대학교 의과대학과 간호대학이 의료 현장의 간호기록 업무를 자동화하는 AI 기술 개발에 나섰다고 밝혔다. 산업통상자원부 지원으로 5년간 국비 63억 원이 투입된다.

이번 사업은 휘영 연세의대 신경외과학교실 교수와 최모나 간호정보학 연구실 연세간호대 교수가 공동 주도하며, ‘초거대 AI 기반 간호기록지 자동 생성 및 업무 자동화 기술 개발’을 목표로 한다.

간호사는 환자의 상태, 투약 내역, 수술 전후 경과 등 방대한 건강정보를 직접 기록하며 동시에 다양한 간호업무를 수행한다. 이로 인한 업무 과중은 환자 돌봄에 집중하는 데 걸림돌이 돼 왔다.

김 교수팀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의료 특화 초거대 언어모델(LLM)과 멀티모달 AI를 접목한 간호기록 자동화 솔루션을 개발한다. 이를 통해 간호정보 조사지, 수술 간호 기록지, 투약 기록지, 퇴원 기록지 등 다양한 문서를 자동 생성·요약하고 표준화할 계획이다.

(왼쪽부터) 김휘영 연세의대 신경외과학교실 교수와 최모나 간호정보학 연구실 연세간호대 교수 (사진 제공=세브란스병원)
(왼쪽부터) 김휘영 연세의대 신경외과학교실 교수와 최모나 간호정보학 연구실 연세간호대 교수 (사진 제공=세브란스병원)
AI 도입으로 간호사의 행정업무 부담을 덜고, 환자 중심의 간호 환경이 조성될 것으로 기대된다.

김 교수는 “클라우드 기반으로 병원 시스템과 연동해 다기관 시범 운영을 거친 후, 국제 표준화까지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최 교수는 “국제 보건 데이터 표준인 HL7과 연동해 기술 경쟁력을 높이고, 글로벌 시장 진출 기반도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국립암센터, ㈜메인 등과 공동으로 수행된다.

저작권자 © H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