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부터 미국 샌디에이고에서 열린 ‘제20회 펩타이드 치료학 심포지엄’에서 발표된 연구 결과에 따르면, 리제노타이드는 기존 GLP-1 치료제보다 지방 축적을 60% 이상 억제하고 근섬유 단면적을 2배 늘렸다. 또한 간 섬유화 지표(α-SMA)를 50% 줄여, 지방간과 섬유화 개선 효과도 입증했다.
리제노타이드는 19개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합성 펩타이드로, 고지방식이 비만 마우스 모델에서 체중과 지방량을 유의미하게 줄이고 근육 내 MyoD1 단백질과 위성세포 마커 Pax7 발현을 1.5배 이상 증가시켜 근육 재생을 촉진했다.

NP-201은 나이벡이 독자 개발한 펩타이드 플랫폼으로, 임상 1상에서 안전성을 확인했다. 올해 상반기 폐섬유증 적응증 관련 권리를 미국 제약사에 이전했으며, 비만 및 대사질환 적응증은 자체 개발을 이어가고 있다.
전 세계 성인의 약 38%가 지방간 질환을 앓고 있으며, 비만과 당뇨 환자에서는 60% 이상으로 증가한다. 또한 고령 비만 인구의 상당수가 근감소증을 동반해 대사질환의 복합적 치료 수요가 커지고 있다.
시장조사에 따르면, 글로벌 GLP-1 기반 항비만제 시장은 2032년까지 1300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전망이며, 대사성 지방간염과 근감소증 치료제 시장도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 리제노타이드는 이 세 시장을 아우르는 차세대 치료제로 주목받고 있다.
정종평 대표는 “리제노타이드는 지방 감량과 근육 보존을 동시에 실현하며 간 섬유화까지 개선하는 새로운 치료 방향을 제시했다”며 “앞으로 임상에서 근육 손실 없는 체중 감량과 근육 증가 효과를 검증해 대사질환 치료의 기준을 세울 것”이라고 말했다.
김국주 하이뉴스(Hinews) 기자
press@hi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