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민정 가톨릭대 부천성모병원 산부인과 교수 연구팀이 당뇨병 여성의 질내 마이크로바이옴이 건강한 여성에 비해 현저히 감소하고 불균형해졌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밝혔다. 폐경 여부, 칸디다 감염, 혈당강하제(SGLT2 억제제) 복용 여부에 따라 미생물 생태계가 크게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나, 당뇨 여성에 대한 맞춤 치료가 필요하다는 분석이다.연구는 제2형 당뇨병을 진단받은 여성 71명과 건강한 여성 100명을 대상으로 질내 미생물 군집을 비교 분석했다. 그 결과, 당뇨 여성의 경우 유익균인 락토바실러스 비율은 낮고, 유해균과 혐기성 세균은 증가했다.특히 폐경 여성과 칸디다 감염이 있는 경우 유익균 중심의 군집(CST I)은 줄고
‘밑이 빠지는 병’이라고도 불리는 ‘골반장기탈출증(POP : Pelvic organ prolapse)’. 골반 안에 있는 자궁이나 방광, 직장 같은 장기가 정상위치에서 질벽을 통해 밑으로 처지거나 질 밖으로 빠져 나오는 질환을 말하는데, 골반장기탈출증일 경우 일반인에 비해 질내 마이크로바이옴이 감소함은 물론 수술적 치료 후에도 마이크로바이옴이 회복되지 않아 별도의 치료 관리가 필요하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가톨릭대학교 부천성모병원 산부인과 김민정 교수는 인천성모병원 진단검사의학과 이승옥 교수, 서울성모병원 진단검사의학과 김명신 교수와 함께 골반장기탈출증 환자 중 페서리 등을 이용한 재건수술을 받은 7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