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news 하이뉴스] 김민정 가톨릭대 부천성모병원 산부인과 교수 연구팀이 당뇨병 여성의 질내 마이크로바이옴이 건강한 여성에 비해 현저히 감소하고 불균형해졌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밝혔다.

폐경 여부, 칸디다 감염, 혈당강하제(SGLT2 억제제) 복용 여부에 따라 미생물 생태계가 크게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나, 당뇨 여성에 대한 맞춤 치료가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연구는 제2형 당뇨병을 진단받은 여성 71명과 건강한 여성 100명을 대상으로 질내 미생물 군집을 비교 분석했다. 그 결과, 당뇨 여성의 경우 유익균인 락토바실러스 비율은 낮고, 유해균과 혐기성 세균은 증가했다.

특히 폐경 여성과 칸디다 감염이 있는 경우 유익균 중심의 군집(CST I)은 줄고, 염증 유발 군집(CST IV)은 증가했다. 또한 SGLT2 억제제 복용 시 폐경 전 여성에서는 유익균 보호 효과가 있었지만, 폐경 후에는 오히려 미생물 균형이 급격히 무너졌다.

(왼쪽부터) 김민정 가톨릭대학교 부천성모병원 산부인과 교수, 김명신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진단검사의학과 교수, 이승옥 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진단검사의학과 교수 (부천성모병원 제공)
(왼쪽부터) 김민정 가톨릭대학교 부천성모병원 산부인과 교수, 김명신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진단검사의학과 교수, 이승옥 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진단검사의학과 교수 (부천성모병원 제공)
김민정 교수는 “당뇨병 여성의 질내 미생물 변화는 감염과 부인과 질환에 직접 영향을 준다”며 “혈당 조절뿐 아니라 마이크로바이옴까지 고려한 통합적인 여성 건강 관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는 서울성모병원 김명신 교수, 인천성모병원 이승옥 교수와 공동으로 진행됐으며, 국제학술지 Microorganisms 6월 25일자에 게재됐다.

저작권자 © H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