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news 하이뉴스] 화순전남대학교병원이 보건복지부가 주관하는 ‘디지털 바이오 스마트 임상지원 플랫폼 구축 및 개발’ 사업의 주관 연구기관으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이 사업은 2025년부터 3년간 총 176억 원 규모로 추진되며, 병원은 ‘K-HOPE’(Korea-Hwasun Oncology Precision biomedicine & Experimental trials) 프로젝트를 통해 디지털 기반의 정밀 임상시험 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이번 사업에는 ㈜아이티아이즈, ㈜제이에스링크, ㈜씨앤알리서치 등 디지털 바이오 기업들이 함께 참여해 산학협력을 통한 실용화 가능성을 높인다.

화순전남대병원 전경 사진 (화순전남대병원 제공)
화순전남대병원 전경 사진 (화순전남대병원 제공)
핵심은 인체자원은행을 디지털화하고 이를 AI와 결합해 환자 맞춤형 치료법을 도출하는 것이다. 화순전남대병원은 지금까지 4만여 명 암환자의 유전자 정보, 검체, 치료 데이터를 축적해 왔으며, 이를 기반으로 환자별 최적 치료제 예측 시스템을 개발할 예정이다.

또한 디지털 트윈, AI, 메타버스 등 첨단기술을 접목해 임상시험 진입 장벽을 낮추고, 가상 대조군 생성, TCR 반응 프로토콜 표준화 등을 통해 임상 신뢰도를 기존 대비 90% 이상 향상시키는 것이 목표다.

스마트 임상시험센터, 가상 임상 프로토콜 플랫폼도 함께 구축해 임상시험 전 과정을 디지털화하고 연구 효율을 높일 계획이다.

조상희 임상시험센터장은 “이번 사업은 디지털 바이오 생태계의 출발점이자, 의료기술의 글로벌 경쟁력을 높일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형석 의생명연구원장은 “면역백신 개발 기반은 물론, 향후 국가첨단의료복합단지와 바이오 전략 특화단지 중심축으로 도약할 것”이라고 밝혔다.

민정준 병원장은 “화순전남대병원이 아시아 암 정밀의료 허브로 나아가는 신호탄이 될 것”이라며 “전라남도와 화순군의 지원, 지산학병연 협력의 결실”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H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