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씨가 시원해지는 것은 좋으나 비염을 앓고 있는 수험생이라면 이 계절이 달갑지만은 않다. 비염이 심해지는 환절기가 시작되기 때문이다. 여름에서 가을로 넘어가는 신학기 시기에 비염이 심해지는 원인은 무엇일까?

두 번째 원인은 가을철의 꽃가루다. 우리나라는 봄 가을철로 꽃가루가 많이 날리는데, 가을에는 주로 쑥, 돼지풀, 환삼덩굴, 국화 등 잡초 꽃가루가 많다. 이 꽃가루들은 8월 말부터 10월 초까지 집중적으로 날리며, 특히 기온이 높고 맑은 날, 약한 바람이 불 때 더 잘 퍼진다. 이러한 잡초 꽃가루에 노출되면 알레르기 비염 증상이 심해질 수 있어 알레르기 비염 증상이 심한 이들은 야외 활동 시에 KF마스크를 착용하여 꽃가루를 차단시켜 주는 것이 좋다.
세 번째 원인은 학교 및 유치원 등 단체생활이 시작되면서 여러 항원이나 바이러스에 대한 노출이다. 학교나 유치원 등의 환경에 따른 먼지나 분진 노출이 알레르기 비염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으며, 감기 바이러스 또한 비염 및 축농증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다시 시작된 학교생활에 대비하여 면역력 관리 및 비염과 감기 증상 관리가 필요한 시기다.
또 다른 이유로는 여름철 체력소모로 인한 면역력 저하다. 여름철에 물놀이나 야외활동 등으로 땀을 많이 흘리거나 여행 등으로 체력을 많이 소모한 경우 면역력이 떨어져 감기와 비염 증상이 악화될 확률이 높아진다. 이런 경우 충분한 영양 섭취 및 휴식과 더불어 체력을 보강할 수 있는 보약 개념의 치료가 필요하다.
가을철 비염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는 방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한의학적인 방법으로는 주로 한약 복용, 침 치료, 뜸 치료 등을 통해 가을철 비염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다. 특히, 가을철 심해지는 비염은 일교차와 건조한 공기로 인해 코 점막이 자극받아 발생하므로, 코 점막의 기능을 강화시키고 면역력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한약 복용은 환자의 체질과 증상에 맞춰 처방된 한약을 복용해 호흡기 점막 기능을 강화하고 염증을 줄인다. 또한, 침 치료는 특정 경혈(풍부혈, 상성혈, 영향혈 등)을 자극하여 기혈 순환을 돕고 코막힘과 알레르기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면역력 증진, 식습관 관리(찬음식 및 인스턴트 음식 줄이기), 충분한 수면, 보약 치료, 영양 섭취 등을 통해 면역력을 높여 비염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다.
(글 : 한재환 숨쉬는한의원 천안점 대표원장)
임혜정 하이뉴스(Hinews) 기자
press@hi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