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news 하이뉴스] 시력이 나빠 안경이나 렌즈를 착용해 본 사람이라면, 한 번쯤 시력교정술을 고민해 봤을 것이다. 요즘은 라식이나 라섹처럼 각막을 절삭하는 방식의 레이저 수술이 많이 알려져 있고, 비교적 간편한 방법으로 받아들여진다. 하지만 시력이 지나치게 나쁜 사람들, 특히 -6디옵터 이상의 고도근시나 심한 난시를 가진 경우라면 얘기가 좀 다르다.

이러한 경우에는 교정해야 할 굴절 오차가 너무 커서 각막을 많이 깎아야 한다. 이때 남는 각막이 너무 얇아지면 눈의 구조적 안정성이 떨어질 수 있다. 그 결과 수술 후 부작용 위험이 커지기 때문에, 아예 수술이 불가능하다는 진단을 받기도 한다. 최근에는 각막 절삭량을 줄이는 기술들이 개발됐지만, 초고도근시나 초고도난시처럼 굴절 이상이 극심한 경우에는 여전히 적용하기 어렵다.

눈의 구조적 특성도 중요한 변수다. 각막이 얇거나, 동공이 지나치게 커서 야간에 심한 빛 번짐이 예상되는 경우, 만성적인 각막 질환이 있는 경우, 난시가 유난히 심한 경우에도 기존의 레이저 시력교정술이 적합하지 않다.

한영근 SNU청안과 원장
한영근 SNU청안과 원장
이럴 때 고려할 수 있는 방법이 바로 ‘렌즈삽입술’이다. 이 수술은 말 그대로 눈 속에 교정용 렌즈를 삽입해 시력을 교정하는 방식이다. 각막을 건드리지 않기 때문에 각막의 형태나 두께와 무관하게 진행할 수 있고 눈의 구조를 최대한 보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수술 후 문제가 생겼을 경우 삽입한 렌즈를 제거해 원래 상태로 되돌릴 수도 있다.

렌즈삽입술은 일반적으로 홍채 전방 혹은 후방에 렌즈를 위치시키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최근에는 후방렌즈삽입술이 많이 사용되는데, 이는 홍재와 수정체 사이 공간에 렌즈를 삽입해 시력을 교정하는 방식이다. 수술 후 통증이 거의 없고 회복도 빠른 편이라 일상 복귀가 어렵지 않다. 각막을 절삭하지 않기 때문에 각막이 얇은 사람도 수술이 가능하며, 안구건조증이나 야간 빛 번짐 같은 부작용 발생 가능성도 낮다.

물론 이 수술도 만능은 아니다. 눈 안 공간과 렌즈의 크기가 맞지 않으면 여러 합병증이 생길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가 너무 크면 방수의 흐름을 막아 안압이 상승하고, 결국 녹내장으로 이어질 수 있다. 반대로 렌즈가 너무 작아 움직이게 되면 각막 내피세포가 손상되거나 백내장이 발생할 수도 있다. 렌즈삽입술은 높은 정확도가 요구되는 수술이기 때문에 반드시 안구 내부의 구조와 사이즈, 난시의 축 방향 등을 정밀하게 측정한 후에 진행되어야 하며 풍부한 경험과 노하우를 지닌 의료진이 필요하다.

수술 후에도 정기적인 검진은 필수다. 특히 각막 내피세포 수치가 일정 이상 감소하지 않는지 정기적으로 확인해야 하며 렌즈가 안정적으로 잘 자리 잡았는지 살펴야 한다. 렌즈삽입술은 라식·라섹보다 수술 후 관리가 더 중요하기 때문에, 수술 전후를 포함해 전반적인 케어 시스템이 잘 갖춰진 병원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렌즈삽입술은 고도근시나 고도난시로 레이저 수술이 어려운 이들에게 실질적인 해결책이 될 수 있다. 특히 각막이 얇아 레이저 수술이 불가능했던 이들이나 재교정이 필요한 경우에도 활용될 수 있다. 다만 눈 속에 직접 렌즈를 삽입하는 만큼 수술 전 정밀한 검사와 수술 후 체계적인 관리가 필수적이다. 경험 많고 기술력이 검증된 의료진을 찾아 상담을 받고 내 눈에 가장 잘 맞는 수술법이 무엇인지 확인하기 바란다.

(글 : 한영근 SNU청안과 원장)

저작권자 © H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