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초신경병 진단, 신경전도검사 및 근전도검사 실시
신경 손상 직후에는 신경생리학적 변화 뚜렷하지 않아

[Hinews 하이뉴스] 손발이 저리고 화끈거리는 증상은 피로나 일시적 혈액순환 문제로 여겨지기 쉽다. 그러나 증상이 점점 심해진다면 말초신경병을 의심해봐야 한다. 말초신경병은 뇌와 척수를 제외한 말초신경이 손상돼 감각, 운동, 자율신경 기능에 이상이 생기는 질환이다.

말초신경병 진단에는 신경전도검사(NCS)와 근전도검사(EMG)가 주로 사용된다. 신경전도검사는 피부에 전기 자극을 줘 신경의 전도 속도와 신호 강도를 측정해 손상 부위와 정도를 파악한다. 근전도검사는 바늘 전극을 근육에 꽂아 근육의 전기 활동을 측정해 신경 손상으로 인한 근육 변화를 확인한다.

손발 저림 증상은 검사 시기와 종류에 따라 정상 판정될 수 있어 재검사가 필요하다. (클립아트코리아)
손발 저림 증상은 검사 시기와 종류에 따라 정상 판정될 수 있어 재검사가 필요하다. (클립아트코리아)
하지만 증상이 있어도 급성기 검사에서는 결과가 정상으로 나올 수 있다. 신경 손상 직후에는 신경생리학적 변화가 뚜렷하지 않아 검출이 어려운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손상 후 최소 5~7일이 지나야 신경전도 속도의 이상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따라서 손상 직후 1~3일 내 검사 결과는 정상처럼 보일 수 있다. 이런 경우 말초신경초음파나 MRI 같은 영상 검사를 추가해 손상 위치와 정도를 확인하기도 한다.

또한, 소섬유신경이나 자율신경만 손상된 경우에는 신경전도검사에서 이상이 발견되지 않을 수 있다. 신경전도검사는 주로 수초(myelin)로 싸인 큰 신경섬유 기능을 평가하기 때문이다. 섬유근육통, 류마티스질환, 복합부위통증증후군처럼 말초신경 자체에 병리 소견이 없는 질환들도 마찬가지로 검사가 정상으로 나올 수 있다.

일반적으로 말초신경 손상 후 2~3주가 지나야 신경전도검사와 근전도검사에서 전형적인 이상 소견이 관찰돼 진단에 유용하다. 그러나 말초신경병 치료의 핵심은 원인을 정확히 찾아 증상 악화를 막고 적절히 관리하는 것이다. 실제 임상에서는 검사 시기를 기다리기보다 증상이 의심되면 우선 검사를 시행하고, 임상 증상과 발병 시기 등을 종합해 결과를 해석한다.

손성연 세란병원 뇌신경센터 과장
손성연 세란병원 뇌신경센터 과장
손성연 세란병원 뇌신경센터 과장은 “급성기 검사에서 정상 결과가 나와도 말초신경병을 배제할 수 없다”며 “임상 증상, 기저질환, 검사 시점을 고려해 2~3주 후 재검사를 권고한다”고 말했다. 이어 “증상이 계속된다면 치료 방향과 예후를 판단하기 위해 추적검사가 필요하다”며 “말초신경병은 일상생활에 큰 영향을 줄 수 있어 조기 진단과 꾸준한 관리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H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