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재현·김지윤 삼성서울병원 내분비대사내과 교수, 김서현 삼성융합의과학원 박사 연구팀은 1형당뇨병 환자 5만6000 명의 건강보험 자료를 기반으로 연속혈당측정기 사용 현황을 분석한 결과를 대한당뇨병학회 공식 학술지 DMJ에 발표했다고 밝혔다.

연령대별 사용률은 차이가 컸다. 19세 미만 환자의 지속 사용률은 37.0%였지만 19~39세는 15.8%, 40~59세는 10.7%,▲60세 이상은 3.9%로 연령이 높아질수록 사용률이 급격히 낮아졌다.
연속혈당측정기는 센서를 팔이나 복부에 부착해 실시간으로 혈당을 확인할 수 있어 손끝 채혈 없이도 정확한 혈당 관리가 가능하다. 저혈당·고혈당 예방은 물론, 인슐린 펌프와 연동 시 혈당 자동 조절도 가능해 치료 효율이 크게 향상된다. 실제 기기를 사용한 환자의 당화혈색소는 3개월 만에 평균 8.7%에서 7.4%로 낮아졌다.
그럼에도 활용률이 낮은 이유로 연구팀은 건강보험 환급 절차의 번거로움, 고령층의 디지털 기기 활용 한계 등을 지적했다. 특히 스마트폰 연동형 등 실시간 측정기보다 사용법이 간단한 스캔형 CGMS가 고령층에서 더 많이 처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혜정 하이뉴스(Hinews) 기자
press@hi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