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열질환은 뜨거운 환경에 오래 노출되면 몸이 체온을 제대로 조절하지 못해 생기는 급성 질환이다. 대표적으로 열경련, 열실신, 열탈진, 열사병 등이 있다. 초기에는 근육통이나 피로, 어지럼증처럼 가벼운 증상이 나타나지만 방치하면 심각한 상태로 악화할 수 있다.
황선욱 가톨릭대 인천성모병원 가정의학과 교수는 “평소 36.5도 내외인 체온이 고온과 수분 부족으로 조절에 실패하면 위험해진다”며 “특히 고혈압, 당뇨, 심장병, 뇌졸중 같은 만성질환자는 무리한 활동을 피하는 게 좋다”고 조언했다.

열탈진은 땀으로 몸의 수분과 전해질이 부족해져 두통, 구토, 어지럼증 같은 증상이 나타나며 체온이 38~39도까지 오를 수 있다. 대부분 시원한 장소에서 수분과 염분을 보충하면 좋아지지만 증상이 심할 땐 병원에 가야 한다. 일사병은 직사광선에 노출돼 발생하는 열탈진이다.
가장 위험한 질환은 열사병이다. 이 경우 체온이 40도 이상으로 올라가면서 의식 저하, 혼수, 발작 등 신경계 이상 증상이 동반된다. 30분 이상 고열이 지속되면 장기 손상까지 이어져 생명이 위태로울 수 있어 신속한 응급처치가 반드시 필요하다.

온열질환을 예방하려면 무더운 시간대(정오~오후 5시) 외출과 운동을 피하는 게 가장 효과적이다. 부득이할 때는 통풍이 잘되는 가벼운 옷차림에 넓은 챙 모자나 양산을 사용하고, 갈증을 느끼기 전에 자주 수분을 섭취해야 한다. 고령자와 아이들은 보호자가 상태를 꼼꼼히 살펴야 한다.
황 교수는 “폭염 경보가 있을 땐 야외 활동 계획을 조절하고, 운동은 아침 일찍이나 해 질 무렵에 하며 중간중간 수분을 충분히 보충하는 것이 좋다”고 덧붙였다.
임혜정 하이뉴스(Hinews) 기자
press@hi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