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news 하이뉴스] 최근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체감온도가 33도 이상을 넘으며 무더위가 계속되고 있다. 이로 인해 온열질환 발생 위험이 높아져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특히 고령자와 만성질환자는 더욱 신경 써야 한다.

온열질환은 뜨거운 환경에 오래 노출되면 몸이 체온을 제대로 조절하지 못해 생기는 급성 질환이다. 대표적으로 열경련, 열실신, 열탈진, 열사병 등이 있다. 초기에는 근육통이나 피로, 어지럼증처럼 가벼운 증상이 나타나지만 방치하면 심각한 상태로 악화할 수 있다.

황선욱 가톨릭대 인천성모병원 가정의학과 교수는 “평소 36.5도 내외인 체온이 고온과 수분 부족으로 조절에 실패하면 위험해진다”며 “특히 고혈압, 당뇨, 심장병, 뇌졸중 같은 만성질환자는 무리한 활동을 피하는 게 좋다”고 조언했다.

무더운 날씨에 온열질환 위험이 커지니, 특히 고위험군은 충분한 수분 섭취와 무리한 야외활동 자제를 꼭 지켜야 한다. (클립아트코리아)
무더운 날씨에 온열질환 위험이 커지니, 특히 고위험군은 충분한 수분 섭취와 무리한 야외활동 자제를 꼭 지켜야 한다. (클립아트코리아)
열경련은 땀을 많이 흘려 염분이 빠져나가 근육이 경련을 일으키는 증상이다. 이럴 땐 시원한 곳에서 전해질 음료를 마시면 증상이 완화된다. 열실신은 더위에 장시간 서 있거나 움직이다가 탈수와 혈관 확장으로 뇌혈류가 일시적으로 줄어 실신하는 경우다. 환자를 눕히고 다리를 높이면 회복에 도움이 된다.

열탈진은 땀으로 몸의 수분과 전해질이 부족해져 두통, 구토, 어지럼증 같은 증상이 나타나며 체온이 38~39도까지 오를 수 있다. 대부분 시원한 장소에서 수분과 염분을 보충하면 좋아지지만 증상이 심할 땐 병원에 가야 한다. 일사병은 직사광선에 노출돼 발생하는 열탈진이다.

가장 위험한 질환은 열사병이다. 이 경우 체온이 40도 이상으로 올라가면서 의식 저하, 혼수, 발작 등 신경계 이상 증상이 동반된다. 30분 이상 고열이 지속되면 장기 손상까지 이어져 생명이 위태로울 수 있어 신속한 응급처치가 반드시 필요하다.

황선욱 가톨릭대 인천성모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황선욱 가톨릭대 인천성모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특히 노인, 심혈관질환자, 알코올 중독자, 정신질환 약물 복용자는 체내 수분 조절 기능이 떨어져 열사병 위험이 더 크다. 열사병 의심 시 119에 신고하고 그늘진 곳으로 옮긴 뒤 옷을 느슨하게 해 체온을 낮춰야 한다. 병원 이송 중에는 차량 내 냉방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

온열질환을 예방하려면 무더운 시간대(정오~오후 5시) 외출과 운동을 피하는 게 가장 효과적이다. 부득이할 때는 통풍이 잘되는 가벼운 옷차림에 넓은 챙 모자나 양산을 사용하고, 갈증을 느끼기 전에 자주 수분을 섭취해야 한다. 고령자와 아이들은 보호자가 상태를 꼼꼼히 살펴야 한다.

황 교수는 “폭염 경보가 있을 땐 야외 활동 계획을 조절하고, 운동은 아침 일찍이나 해 질 무렵에 하며 중간중간 수분을 충분히 보충하는 것이 좋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H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