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반월상연골판은 무릎 관절의 쿠션 역할을 하며, 한 번 손상되면 자연적으로 회복되지 않는다. 특히 중장년층에서는 퇴행성 변화로 인해 쉽게 찢어질 수 있고, 이를 방치하면 관절염으로 악화될 수 있다.
해당 질환은 활동량이 많은 젊은층에게는 운동 중 발생하는 외상으로, 중장년층에게는 노화에 따른 조직 약화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주요 증상으로는 무릎 관절 부위의 통증, 부기, 움직일 때 ‘빠지는 느낌’, 특정 자세에서 무릎이 움직이지 않는 ‘잠김 증상’ 등이 있다. 갑작스러운 통증이나 반복적인 무릎 꺾임이 느껴질 경우 전문의 진료가 필요하다.
치료는 환자의 상태에 따라 보존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로 나뉜다. 파열 정도가 경미하다면 약물치료나 물리치료만으로 증상 개선을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파열이 크거나 반복되는 경우 관절내시경을 활용한 수술적 처치가 요구된다. 시술은 1cm 이하의 작은 절개만으로 손상 부위를 직접 확인하고 봉합 또는 절제할 수 있어 회복이 빠르고 조직 손상이 적다.
최근 정형외과계에서는 반월상연골판의 기능적 중요성이 재조명되며, 가능하면 제거보다는 봉합을 통해 조직을 보존하는 방향으로 치료가 이뤄지고 있다. 특히 젊고 활동적인 환자에게는 연골판 유지가 장기적인 무릎 건강에 더 유익하다.
연세사랑병원 고용곤 병원장은 “무릎 통증이 자주 발생한다고 해서 이를 단순한 피로 또는 가벼운 염좌로 여겨서는 안 된다”며 “조기에 정확한 진단을 받고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관절염으로의 진행을 막고 무릎 기능을 지키는 최선의 방법”이라고 강조했다.
김국주 하이뉴스(Hinews) 기자
press@hi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