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news 하이뉴스] 스마트폰과 노트북 사용이 일상이 되면서 고개를 숙이는 시간이 길어졌다. 잠깐이라도 반복되는 이 자세는 목과 어깨 통증, 두통, 손 저림 등 만성 증상을 불러올 수 있다. 단순 피로나 근육 뭉침으로 여기기 쉽지만, 실제로는 목뼈 배열이 무너진 ‘거북목 증후군’일 가능성이 크다.

거북목은 단순히 자세가 구부정한 문제가 아니다. 고개가 앞으로 돌출되면 경추의 자연스러운 C자 곡선이 사라지고 일자목이나 역C자 형태로 변형된다. 목 주변 근육은 항상 긴장 상태가 되고, 이로 인해 만성 통증, 두통, 신경 자극, 관절 기능 저하가 발생한다.

특히 고개를 60도 숙이면 목에 가해지는 하중이 최대 27kg까지 늘어난다. 이는 초등학생 한 명이 목 위에 올라탄 무게와 비슷하다. 장시간 이 자세를 유지하면 디스크 압박과 신경 손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

거북목 의심 시, 잘못된 자세 습관을 바로잡아 목 건강을 지켜야 한다. (클립아트코리아)
거북목 의심 시, 잘못된 자세 습관을 바로잡아 목 건강을 지켜야 한다. (클립아트코리아)
차경호 연세스타병원 원장은 “거북목은 단순 자세 문제가 아닌 목 구조의 병적 변화”라며 “초기 근육통에서 시작해 목디스크, 팔과 어깨 저림, 두통, 안면 통증으로 진행될 수 있다”고 말했다.

심해지면 후두신경 자극으로 ‘경추성 두통’이 나타날 수 있는데, 뒷머리에서 관자놀이와 눈 뒤까지 퍼지는 두통이다.

치료는 조기 진단과 생활 습관 교정이 중요하다. 영상 촬영으로 경추 상태를 확인하고, 증상에 따라 주사치료, 견인, 자세 교정 운동 등을 시행한다. 통증이 심하면 신경 차단술이나 고주파 수핵감압술 같은 최소침습 치료를 병행할 수 있다.

하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건 잘못된 습관을 끊는 것이다.

차경호 연세스타병원 원장
차경호 연세스타병원 원장
거북목이 의심된다면 이 습관들만큼은 절대 피해야 한다. 먼저 누워서 스마트폰 사용 금지다. 고개가 앞으로 떨어지고 목이 비틀리면서 신경과 디스크가 자극받는다. 높은 베개 사용도 금지다. 베개가 높으면 목이 비정상적으로 꺾여 신경을 압박한다. 아침에 목과 어깨가 뻐근하면 경고 신호다. 장시간 고개를 숙이지 말아야 한다. 하루 3~4시간 스마트폰이나 노트북을 사용하는 것은 무거운 짐을 오랫동안 드는 것과 같다. 반복되는 하중이 경추 정렬을 무너뜨린다.

예방을 위해 하루 1~2시간 간격으로 스트레칭이 필요하다. ‘하늘 보기’ 자세로 목 뒤쪽을 펴고, 양팔을 뒤로 벌려 어깨를 열면 목과 어깨 근육 긴장을 완화할 수 있다.

차경호 원장은 “거북목은 현대인의 흔한 질환이지만, 조기에 생활 습관을 바꾸면 충분히 회복 가능하다”며 “목과 어깨 통증, 뻐근함을 방치하지 말고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게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H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