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족관절 염좌로 병원을 찾은 환자는 2022년부터 2024년까지 2.44% 증가했고, 매달 평균 20만 명에 달하는 사람들이 치료를 받고 있다. 전문가들은 “단순 염좌라 하더라도 초기에 제대로 치료하지 않으면 만성 통증이나 반복 손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한다.

족관절 염좌는 인대 손상 정도에 따라 1~3도로 분류된다. 1도 손상은 인대가 약간 늘어난 상태로, 통증은 있지만 비교적 가볍다.
2도 손상은 인대가 부분적으로 파열되며, 부기와 함께 걷기 어려울 수 있다. 3도 손상은 인대가 완전히 끊어진 상태로, 심한 통증과 붓기, 피부색 변화까지 동반되며 체중을 싣기 어렵다.
경미한 경우에는 보존적 치료로 회복 가능하다. 대표적인 방법이 바로 ‘RICE 요법’이다. 휴식(Rest), 냉찜질(Ice), 압박(Compression), 다리 올리기(Elevation)을 통해 염증과 통증을 줄이는 방법이다. 하지만 손상이 심하면 4~6주간 치료에도 효과가 없거나 관절 불안정성이 지속돼 수술이 필요한 경우도 많다.

족관절 염좌는 재발이 잦기 때문에, 무엇보다 예방이 중요하다. 발목 주변 근육의 균형 잡힌 근력과 유연성을 유지하고, 운동 전 충분한 스트레칭으로 근육 긴장을 풀어주는 것이 기본이다. 또, 운동 상황에 적합한 지지력 있는 신발 착용도 중요하다.
장우영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정형외과 교수는 “족관절 염좌는 반복될수록 관절의 안정성을 해치고, 만성 통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며 “특히 한쪽 발목만 치료하기보다 양쪽 발목을 모두 재활하는 것이 재발 방지와 기능 회복에 효과적이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작은 부상이라도 방치하지 말고 초기에 치료를 받는 것이 가장 현명한 선택”이라고 덧붙였다.
임혜정 하이뉴스(Hinews) 기자
press@hi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