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판매 관리 강화, 원산지 허위표시·식중독 위험 차단

[Hinews 하이뉴스] 서울시는 추석 명절을 앞두고 시민이 안심하고 식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내달 2일까지 5,000여 개 업소를 대상으로 ‘추석 성수식품 유통·판매 집중 점검’을 실시한다고 오늘 밝혔다.

서울시 식품안전단속반 지도점검 (서울시 제공)
서울시 식품안전단속반 지도점검 (서울시 제공)

이번 점검은 농·축·수산물 및 가공식품(9월 3일~12일), 원산지 점검(9월 15일~10월 2일)으로 나눠 진행된다. 최근 고온다습한 날씨로 식중독 발생 위험이 커지고 부적합 식품 회수 사례가 이어지면서, 시는 시민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집중 점검에 나섰다.

점검은 서울시, 자치구, 소비자식품위생감시원이 함께하는 민관 합동 방식으로 진행된다. 대상은 제수용·선물용 수요가 많은 축산물, 건강기능식품, 과일, 나물, 생선, 떡, 한과, 참기름 등을 취급하는 제조·판매업소와 전·튀김·횟집 등 식중독 발생 우려가 높은 음식점 등 총 1,150개소다. 백화점, 대형마트, 전통시장 등 시민이 많이 찾는 장소를 우선적으로 선정했다.

주요 점검 사항은 무등록 제조·판매, 소비기한 경과 제품 판매, 비위생적 취급, 종사자 건강진단 미실시, 보존·유통기준 위반, 한우 둔갑 판매, 축산물이력제 위반 등이다.

시는 점검과 함께 명절 다소비 식품 390여 건을 수거해 잔류농약, 중금속, 식중독균 등을 정밀검사한다. 특히 국내산 쇠고기는 한우 확인시험과 DNA 동일성 검사를 통해 유통 질서 교란 행위를 차단할 방침이다.

또 수입산을 국내산으로 둔갑 판매하는 행위를 막기 위해 전통시장, 대형마트 등 농수산물 판매업소와 음식점 4,000개소를 집중 점검한다. 원산지 허위 표시가 의심되는 농축산물은 수거·검정을 병행해 단속을 강화한다.

위반 업체는 관련 법령에 따라 행정처분 및 과태료 부과 등 엄정 조치되며, 부적합 제품은 즉시 회수·폐기해 시중 유통을 원천 차단한다.

서울시는 올해 초 설 명절 점검에서도 1,943곳 중 24건(1.2%)을 적발해 행정조치를 한 바 있다.

양광숙 서울시 식품정책과장은 “명절 전 선제적인 성수식품 관리를 통해 안전사고를 철저히 예방하고자 한다”며, “시민 모두가 가족과 함께 건강하고 풍성한 추석 명절을 보낼 수 있도록 안전한 먹거리 환경을 조성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Hi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