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린성 두드러기는 체온이 상승할 때 땀샘 자극을 계기로 발생하는 특수한 형태로, 땀 분비 과정에서 분비된 아세틸콜린이라는 물질이 피부 반응을 일으키는 것이 특징이다. 보통 1~4mm 정도의 작은 팽진이 올라오며, 일반 두드러기에 비해 따끔거리는 증상이 동반되기도 한다.
땀이 나거나 체온이 오를 때 증상이 유발되는 만큼, 단순 알레르기 반응과는 다른 양상을 보인다. 몸의 열 순환이 원활하지 않거나 자율신경 조절이 불안정할 경우 피부 반응이 쉽게 일어날 수 있다.

콜린성 두드러기를 예방하려면 급격한 체온 변화나 열이 체내에 머무는 상황을 피하는 것이 중요하다. 격한 운동보다는 체온이 천천히 오르는 가벼운 스트레칭이나 산책이 좋고, 너무 뜨거운 목욕이나 사우나는 피하는 게 좋다. 또한 맵고 자극적인 음식을 피해 몸에 열이 오르는 것을 방지하고, 스트레스 관리와 휴식으로 심리적 안정을 찾는 것 또한 필요하다.
가을처럼 온도 변화가 큰 시기에는 피부의 방어력이 쉽게 흔들린다. 반복되는 발진이나 가려움이 있다면 단순한 피부 트러블로 넘기기보다 몸이 보내는 신호로 인식하고, 생활 습관과 환경을 함께 점검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글 : 이동우 프리허그한의원 인천점 원장)
키워드
#콜린성두드러기
임혜정 하이뉴스(Hinews) 기자
press@hi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