쯔쯔가무시증은 ‘오리엔타 쯔쯔가무시’라는 세균을 가진 털진드기 유충에게 물리면서 감염된다. 털진드기는 9월 말부터 활동이 본격화되고, 10월 중순 이후 급격히 증가한다. 환자는 1~3주 잠복기를 거친 뒤 오한, 발열, 두통 등 감기와 유사한 증상을 보인다. 하지만 고열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아 초기 치료가 매우 중요하다. 치료가 늦어지면 폐렴, 뇌수막염, 신부전 같은 심각한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은 바이러스를 가진 소피 참진드기가 매개하는 감염병이다. 고열, 구토 등 증상이 나타나며, 치명률이 약 18.5%에 달해 매우 위험하다. 아직 백신이나 치료제가 없기 때문에 예방이 최선이다.

진드기 감염병을 막으려면 진드기에 물리지 않는 게 가장 효과적이다. 야외 활동 시 긴팔, 긴바지, 양말 착용으로 피부 노출을 최소화하고 진드기 기피제를 꼭 사용해야 한다. 풀밭에 바로 앉거나 눕는 것도 피하는 게 좋다.
활동 후에는 즉시 샤워하고 옷을 세탁하는 습관을 들여야 한다. 진드기가 많이 서식하는 지역 방문은 가능하면 삼가야 한다. 만약 진드기에 물렸다면 절대 손으로 억지로 떼어내지 말고, 병원에서 안전하게 제거하는 게 안전하다.

윤영경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진드기 매개 감염병 증상이 감기와 비슷해 치료 시기를 놓치기 쉽다”며 “야외 활동 후 1~3주 내에 고열, 두통, 구토, 설사 같은 증상이 나타나면 바로 의료기관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윤 교수는 “기후 변화로 진드기 활동 시기가 길어지면서 감염 위험이 커지고 있다”며 “평소 예방 수칙을 철저히 지키는 게 가장 확실한 백신임을 잊지 말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임혜정 하이뉴스(Hinews) 기자
press@hi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