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물 섭취 후 치아 표면에는 치태(플라그)가 남는다. 이 치태는 세균 덩어리로 48시간만 지나면 단단한 치석으로 굳어버린다. 한 번 치석이 생기면 칫솔로는 제거가 불가능하다. 치석이 쌓이면 그 아래 염증이 생기고 점차 잇몸뼈까지 파괴되기 시작한다. 이를 막기 위한 가장 강력한 무기는 정확하고 꼼꼼한 양치다. 단순히 횟수를 채우는 것이 아니라 치아와 잇몸 경계를 따라 부드럽게, 빠뜨리는 곳 없이 닦는 것이 중요하다. 칫솔만으로는 치아 사이 깊숙한 곳까지 닦기 어려운 만큼 치실이나 구강 세정기를 함께 사용하는 것도 효과적이다. 하루에 한 번, 자기 전이라도 치실을 사용하는 습관은 구강 내 세균의 균형을 잡아주는 강력한 예방책이 된다.

입 안을 건조하게 만드는 습관도 피해야 한다. 충분히 수분을 섭취하지 않거나 입을 자주 벌리고 생활하는 습관, 수면 중 입호흡, 만성 스트레스 등은 모두 구강건조증을 유발하는 요인이다. 타액은 입속 세균을 씻어내고 산도를 중화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침 분비가 줄면 세균이 더 활발하게 활동하게 된다. 특히 고령층은 복용 중인 약물로 인해 타액 분비가 줄어드는 경우가 있어 더욱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흡연 역시 치주질환의 주요 위험 요소로, 잇몸의 혈류를 줄이고 면역력을 떨어뜨려 염증에 더 취약하게 만든다. 흡연자일수록 정기적인 치과 검진과 구강 위생 관리가 필수적이다.
치주질환은 단순히 잇몸 문제를 넘어 치아 상실과 전신 건강에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대한 질환이다. 가장 기본적인 양치 습관을 가볍게 여겨서는 안 되는 이유다. 하루 세 번 양치, 하루 한 번 치실, 그리고 6개월에 한 번 치과 점검. 이 세 가지만 제대로 실천해도 평생 치아 건강을 지킬 수 있다. 치과 치료는 증상이 나타난 뒤 고치는 것보다 아무 문제가 없을 때 미리 예방하는 것이 훨씬 더 쉽고 경제적이다.
잇몸 질환은 조용히, 그리고 천천히 진행되며 한 번 손상되면 회복이 어렵다. 치아를 오랫동안 건강하게 유지하고 싶다면 가장 먼저 돌아봐야 할 건 생활 습관이다.
(글 : 진혜민 이살리는치과 선릉역점 대표원장)
김국주 기자
press@hi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