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연지 가톨릭대 성빈센트병원 재활의학과 교수팀은 2015년부터 2022년까지 편측성 뇌졸중 만성기 환자 62명의 장기 추적 뇌 MRI를 분석했다고 밝혔다. 평균 51개월(최소 13개월~최대 137개월)간 대뇌와 소뇌의 구조 변화를 중심으로 상지 기능 회복과의 연관성을 정밀 조사했다.
기존에는 뇌졸중 후 3~6개월 이내 급성기 및 아급성기에 신경 회복과 재활 효과가 집중됐으며, 만성기 환자는 재활 치료에서 제외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이번 연구는 일부 만성기 환자에게서도 대뇌 피질 회백질 부피 증가와 피질척수로(CST) 무결성 변화 등 신경 가소성이 장기간 이어짐을 확인했다.

유연지 교수는 “이번 연구는 뇌졸중 후 구조적 뇌 가소성이 만성기까지 이어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며 “급성기 중심 재활 패러다임을 넘어, 만성기 환자 대상 장기 재활 중재와 예후 예측에 중요한 근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미국 심장협회(AHA) 발행 신경과학 국제학술지 ‘Stroke(2023 IF=7.9)’에 게재돼 학술적 가치를 인정받았다.
임혜정 하이뉴스(Hinews) 기자
press@hinews.co.kr